"학생 선발권 돌려달라" 평준화 정책 정면 부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종교계는 "서울시 교육청이 종교 교육을 금지하는 공문을 일선 학교에 내려보냈었다"면서 "이는 종교계 사립학교의 건학 이념을 말살하려는 정부 여당의 오랜 계획이 드러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사립학교법 개정을 통해 (종교계 사립학교 말살을) 가속하고 개방형 이사를 통해 사립학교를 찬탈하려는 책동이 쏟아져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톨릭학교법인연합회 부회장인 박홍 신부는 "전 세계적으로 종교 교육이 다 허용되는데 개정 사립학교법은 그걸 못 하게 한다"고 비판하고 "종교계 사학에선 복음의 가치와 교육의 가치가 합쳐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사립학교법 개정의 책임을 지고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사퇴하라▶열린우리당은 사학법을 재개정하라▶헌법재판소는 사학법 시행(7월 1일) 전에 헌법적 판단을 내려 달라는 등의 요구를 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박종순 대표회장은 "우리의 정당한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영적 전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에서 종교계 인사들은 "학생 배정을 선지원-후추첨 방식으로 바꾸고 재학생에 대해선 (다른 학교로) 재배정할 수 있도록 해 달라"면서 평준화 제도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했다.

한기총 최희범 총무는 "더 이상 제비뽑기 식으로 학생을 받는 것은 안 된다"며 "평준화 작업에 대한 문제 제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선지원-후추첨을 하게 하는 등 기독교 학교에 대해선 근본적인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올 1월 현재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종교계 사학은 482개로 전체 사립학교 1974개의 24.4%다.

가톨릭 교회는 기자회견과는 별도로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헌장'을 마련했다.

내용은 "가톨릭 학교의 사명은 전인교육과 복음화(福音化)에 공헌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신앙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복음에 따르는 삶을 사는 신앙적 인재로 성장하도록 돕는다"는 것이다. 이 안은 17일 공청회를 거쳐 가톨릭 최고 의결기구인 주교회의 상임위-총회를 거쳐 추인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교육인적자원부 관계자는 "학교 배정에 종교를 고려하는 건 희망하는 학생과 학교 수가 일치돼야 하는 등 평준화 제도하에선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고정애 기자

*** 바로잡습니다

6월 13일자 1면의 '기독교.천주교 단체순교 각오 사학법 투쟁' 기사 중 기자회견일 10일은 12일의 오기이기에 바로잡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