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은 여권」초강경 대응|남북교류 추진속도 대폭 조정|시국관련 법안 개폐에도 영향|「문목사 회오리」고위당정회의 안팎|문목사 집중성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문익환목사 방북의 충격에서 헤매던 정부와 민정당이 강경방침을 확립했다.
29일 오전 열린 정부·민정당의 긴급고위당정회의는 시종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고 문목사에 대한 사법처리, 좌경세력 및 북한측에 대한 강경 목소리만을 규합하고 금강산개발 등 그동안 북방정책을 전면 보류함으로써 강경 의지를 과시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민정당은 문목사 사법처리·대공관계법률의 재정비 등 대책을 내놓은 외에도 오랜 시간 자유토론을 갖고 이사건의 파장을 집중 검토했는데, 결론적으로 문목사 입북이 대공체제뿐 아니라 전반적인 6공 관리체제의 허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
자유토론 중 당사에 돌아와 긴급 브리핑을 한 박희태 대변인은 평소와 달리 상기된 표정으로 『사안이 너무 중대해 지금까지도 당정간에 심각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해 당정의 분위기를 압축.
박대변인은 『한마디로 이번 사건을 흐리멍텅한 용두사미격으로 마무리지어서는 안되고 강경 대처의 초지가 희석돼서는 절대로 안된다는데 의견일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
민정당은 당정간의 협의를 계기로 최근 득세하고있는 좌경세력에 대해 근본적이고 철저한대책을 강구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핵심세력의 구속이라는 전면전까지 불사한다는 각오인데 안기부장·법무장관의 보고에 이은 자유토론시간에서도 이러한 필요성이 집중강조.
당쪽에서 공안관계장관을 포함, 4∼5개 부처장의 인책건의설이 나돌아 회의분위기를 더욱 경색시켰는데 당의 한 고위관계자는 『거의 무장해체되다시피한 대좌경체제를 다시 정비, 구축하기 위해선 관계장관의 문책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당의중론』이라고 피력.
이날의 긴급당정회의에서는 문목사의 북한내활동을 담은 VTR를 「분간 시청한 당직자들은 『도대체 지금까지 민주화의 기수로 자처하던 문목사가 어떻게 저런 말과 행동을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며 『차제에 이 사건을 민주화란 탈을 쓴 체제도전세력의 실상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호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
당직자들은 특히 문목사가 판문점을 통해 되돌아온다는 얘기에 대해 『마치 자신이 남북통일의 영웅이나 된 양 환상에 빠져있다』고 비난했는데 박대변인은 『이는 남북간 협의 대상도 되지 않고 정부, 여당으로서는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단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