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8년까지 올림픽 공식 스폰서 계약 연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성전자는 4일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올림픽 공식 후원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왼쪽부터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다케다 쓰네카즈 IOC 마케팅위원장.[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4일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올림픽 공식 후원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왼쪽부터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다케다 쓰네카즈 IOC 마케팅위원장.[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2020년까지였던 올림픽 공식후원 계약을 2028년 여름 올림픽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4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이같은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고동진 삼성전자 IM(IT·모바일)부문 대표이사 사장과 다케다 쓰네카즈 IOC 마케팅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서울 장충동 호텔신라에서 계약서에 서명했다. 계약식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도 참석했다. 이번 후원 계약으로 삼성전자는 '2022 베이징 겨울 올림픽'과 '2024 파리 올림픽'에 이어, 아직 개최지가 결정되지 않은 2026년 겨울 올림픽과 2028 LA 올림픽까지 공식 후원사로 참가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이번 후원 계약을 통해 무선·컴퓨팅 분야뿐 아니라, 제품에서 구동되는 5G(세대) 이동통신,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관련 공식 후원사 권리까지 확보했다.
 삼성전자는 1988년 서울올림픽 지역 후원사로 올림픽과 인연을 맺은 이후, 1997년 IOC와 글로벌 후원사 중 최고 등급인 TOP(The Olympic Partner) 계약을 체결하고 '1998 나가노 겨울 올림픽'부터 무선통신 분야 공식 후원사로 활동해왔다. 삼성전자 측은 "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된 도시들이 삼성전자에 모두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마케팅적 측면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2022년 베이징 겨울 올림픽의 경우 삼성전자에 계약을 연장하는 우선 권리가 보장되는데, 이를 포기할 경우 중국의 경쟁 업체들이 마케팅을 싹쓸이할 것이란 점을 고려했다고도 덧붙였다.
 하지만 애초 재계에서는 올림픽 마케팅 효과가 감소한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거액을 들여 후원을 연장할 유인이 부족하다는 관측이 많았다. 올림픽의 인기가 예전만 못한 상황에서, IOC가 요구하는 후원 비용은 비싸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TOP 기업의 경우 4년마다 1억 달러(약 1130억원) 정도를 후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삼성은 최근 들어 스포츠 마케팅을 축소하는 분위기였다. 농구·축구 등 스포츠단 운영을 제일기획에 넘겼고, 삼성증권 테니스단과 삼성중공업 럭비단도 해체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정치권을 중심으로 삼성전자가 올림픽 스폰서를 중단하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합의한 '2032년 남북공동 올림픽 유치' 작업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달 21일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인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올림픽 유치를 위한 첫 번째 골든타임은 삼성이 (올림픽) 스폰서 계약을 연장할지 말지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삼성전자가 마케팅 효과보단 사회·정치적 상황을 고려했을 공산이 더 크다고 재계는 해석하고 있다. 최지영 기자 choi.jiyoung@joongang.co.kr

삼성전자 "베이징, 파리 등 개최지 중요한 시장" #"2032년 남북 공동 올림픽 유치작업 의식" 시각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