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포털사이트의 정치적 편향을 우려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언론의 두 기둥은 취재와 편집이다. 편집은 기사와 자료를 수집.정리.구성해 일정한 형태로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기능이다. 기사의 가치를 판단하고 다양하게 지면에 재배치하는 핵심적 기능이다. 이런 점에서 인터넷 포털사이트들은 실질적인 편집 기능을 통해 사실상의 언론행위를 하고 있다. 포털은 거대한 자본과 엄청난 방문자를 거느린 정보시장의 공룡이지만 언론법에는 포함돼 있지 않다. 주무부서도 정보통신부다.

5.31 지방선거에서 주요 포털들이 정치적 편향성을 보였다는 한 시민단체의 지적이 제기됐다. 그동안의 막연한 의구심이 구체적인 통계로 확인되고 있다. 자유주의연대의 포털사이트 모니터링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장에 출마한 여당 후보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기사가 넘쳐나고 야당 후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기사들을 눈에 띄게 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립성과 형평성이라는 보도의 기본 원칙을 어긴 것이다.

포털들은 또 일본인 납북자 요코타 메구미 부친의 방한이나 병풍 의혹 주역인 김대업씨 동생의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채용 기사는 아예 메인 뉴스로 다루지 않았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테러 직후에 나온 노사모 대표의 "성형도 한 모양"이라는 발언도 마지못해 취급한 듯 뒤늦게 눈에 띄지 않게 배치했다. 주요 기사로 취급한 일간지와 방송들과는 대조적이다. 단순한 실수라고 보기 어렵다. 정권의 입맛에 맞지 않는 기사는 의도적으로 누락시킨 냄새가 난다.

인터넷 포털사이트들은 이미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하지만 권한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오보나 명예훼손 기사가 마구 퍼 날라져 사회문제를 일으킨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여기에다 정치적 편향이 맞물리면 언제든지 사회적 흉기로 돌변할 수 있다. 우리 사회 일각에서 나도는 "내년 대선에서 이기려면 포털을 잡아야 한다"는 괴소문은 그냥 흘려들을 일이 아니다. 포털 스스로 금도를 지켜야 할 것이다. 차제에 포털 뉴스에 대한 엄격한 기준과 종합적인 개선책도 마련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