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화재로 청와대 ‘전시 지휘 벙커’ 43시간 마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청와대 전경 [뉴스1]

청와대 전경 [뉴스1]

지난달 발생한 KT 아현지사 화재로 청와대의 전시 지휘소인 남태령 벙커의 군 통신망 수십 개가 마비됐다가 43시간 만에 복구됐다고 3일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남태령 벙커는 유사시 대통령과 주요 부처 관계자들이 모여 국정원, 군 등과 소통하며 지휘하는 곳이다.

2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이종명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방부에게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T 아현지사 화재가 발생한 지난달 24일 청와대 남태령과 연합사 간의 합동지휘통제체계(KJCCS) 회선과 군사정보통합시스템(MIMS), 국방망, 화상회의망 등에서 총 42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수도방위사령부와 예하 경비단 등을 잇는 KJCCS망 5개, 남태령 벙커와 청와대‧국정원 등을 연결하는 MIMS 4개, 국방부와 외부를 기관을 연결하는 국방망 14개 회선이 마비됐다. 특히 KJCCS와 MIMS는 청와대가 군을 통제하는 체계로 만일 전시 상황이었다면 KT 아현지사에서 발생한 화재 하나로 청와대의 지휘 체계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을 수 있는 위기를 겪은 셈이다.

국방부가 통신 피해 규모를 축소하려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군은 KT 화재 당시 “군 내부망은 정상적으로 작동했고 작전 대비 태세에는 차질이 없었다”고 했다. 하지만 군 내부에서는 ‘KJCCS 등의 피해가 군 작전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의원은 "국방부가 KT 화재로 통신망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를 은폐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이 은폐가 의도적이라면 더욱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