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화불량 진료 인원 62만명…여성이 1.5배 많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성인 소화불량. [중앙포토]

성인 소화불량. [중앙포토]

지난해 소화불량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이 62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년~2017년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30일 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소화불량 질환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61만6170명이다. 2012년(68만664명)보다는 적지만 2016년(60만4119명)보다 늘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24만6000명, 여성 37만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았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 인원으로 환산해도 여성은 1458명, 남성은 963명으로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성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소화불량이 남성보다 여성 진료 인원이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소화불량에 남녀 차이는 없다고 알려졌지만 일부 연구에서 여성이 조금 많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통증의 역치가 여성이 남성에 낮게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9만7000명, 15.8%) 소화불량 진료 인원이 가장 많았다. 70대 이상(9만명, 14.6%), 50대(8만1000명, 13.1%)의 순이었다. 남성은 70대 이상(3만 6000명, 14.6%)이 가장 많았고, 60대(3만 6000명, 14.5%), 50대(3만 1000명, 12.6%) 순이며, 여성은 60대(6만 1000명, 16.6%)가 가장 많았고, 70대 이상(5만4000명, 14.6%), 50대(5만명, 13.5%)가 뒤를 이었다.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인구 10만 명당 진료 인원으로 보면 70대 여성이 2594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 여성(1921명), 50대 여성(1476명) 순이었다.

원성영 교수는 "소화불량은 생명을 위협하거나 다른 질환으로 진행되는 질환은 아니다"라면서도 "위궤양·위암·췌담도 질환 등에 대한 경고 증상일 수 있으니 진단 시기를 놓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