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북한 핵실험 없는 한 비핵화 얼마나 걸리든 상관없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도널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얼굴)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핵실험이 없는 한 비핵화가 얼마나 오래 걸리든 상관없다”고 밝혔다. 앞서 “2, 3년이 걸려도 상관없다. 시간 게임은 하지 않겠다”(9월 26일 뉴욕 기자회견), “서둘지 말라”(20일 네바다 유세)는 발언에 이어 비핵화 장기전 태세를 거듭 천명한 것이다. 핵미사일 시험을 말라는 레드라인을 강조하면서도 비핵화 이후엔 “경제 대국이 될 것”이란 메시지도 함께 전했다.

비핵화 때까지 제재 유지 강조 #“북한, 중·러·한국 사이에 있어 #비핵화하면 경제대국 될 것”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일리노이주 유세에서 비핵화 진행이 더디다는 비판을 반박하면서 “그동안 아무 일도 없었던 게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내가 오기 바로 직전 사람들이 정말 전쟁이 벌어질 거라고 생각했고 핵 재앙의 가능성이 있다고 믿었다”고 하면서다. 그는 “이제 로켓과 핵실험은 없고 인질들이 돌아왔으며 (한국전의) 위대한 영웅들의 유해도 송환되고 있다”면서 “우리 (북·미)관계는 정말 좋은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하 직원들에게도 “핵실험이 없는 한 (협상이) 얼마나 오래 걸리든 상관하지 않겠다”고 했다고 했다. 그는 또 “우리는 북한에 아무것도 주지 않았다.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다는 것 한 가지뿐”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에게 비핵화 때까진 제재를 유지하겠다는 메시지를 재차 전한 것이다.

동시에 비핵화 이후엔 북한이 경제 대국이 될 것이란 말도 했다.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 한국 사이에 있어 경제 대국이 될 것”이라며 “정말 좋은 위치이기 때문에 환상적인 나라가 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처럼 장기전 태세를 보이기 시작한 건 김정은 위원장이 9·19 평양 남북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상응 조치”, 즉 대북제재 완화를 본격적으로 요구하면서다. 그러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 이후 2차 북·미 정상회담은 1월로 연기됐고, 고위급 회담과 실무협상도 일정을 잡지 못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조정관은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대북 제재 완화를 위해선 한·미가 북한이 내놓을 수 있는 조치에 대해 사전에 논의하고 협의해야 할 것”이라며 “이는 한·미가 가진 가장 중요한 협상 카드”라고 강조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