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탄소년단·한한령 완화에 ‘한류 흑자’ 늘어…1년 4개월 만에 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K팝 한류스타 공연을 보기 위해 모인 국내외 팬들 [연합뉴스]

K팝 한류스타 공연을 보기 위해 모인 국내외 팬들 [연합뉴스]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체계 보복이 완화하고 방탄소년단 등을 중심으로 K팝이 인기를 끌며 ‘한류 흑자’가 늘고 있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지’ 흑자는 4270만 달러(약 483억원)로 작년 4월 5500만 달러(약 623억원) 이후 최대였다.

해외에서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로 8180만 달러(약 926억원) 벌어들여 지난 2016년 6월 9590만 달러(약 1086억원) 이래 가장 큰 수익을 올린 덕분이다.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지급은 3910만 달러(약 443억)로 지난해 같은 달 2560만 달러(약 290억원)보다 확대했으나 그 증가 폭은 수입보다 작았다.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지는 TV 프로그램, 영화, 라디오, 뮤지컬, 음원 등 콘텐츠와 관련해 해외에서 벌어들인 수입과 해외에 지급한 자금을 비교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한류 바람과 함께 급격히 확대해 한류 흑자로도 통했다.

2016년 정점에 이르러 그해 6월에는 6660만 달러(약 754억원)까지 흑자 규모를 키우기도 했으나 사드 배치 발표 이후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으로 흑자 확대에 제동이 걸렸다.

중국이 한국 문화 콘텐츠 수입을 금지하고 한류 스타들의 중국 활동을 막는 등 ‘중국 특수’가 사라지며 한류 흑자는 쪼그라들었다. 작년 10월에는 220만 달러(약 24억원) 흑자로 적자를 겨우 면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말 이후 한중이 관계 개선에 합의하고 사드 보복 조치를 완화하자는 데 뜻을 모으면서 한류 흑자는 재차 확대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한류 저변 확대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이 성공적인 미국 진출에 나서면서 한류 붐이 아시아를 넘어 미국, 유럽 등으로도 확산하는 모양새다.

1∼8월 기준으로 보면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흑자는 2억3500만 달러(약 2662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 2억270만 달러(약 2296억원) 흑자 규모를 넘어섰다. 역대 최대였던 2016년 1∼8월의 3억7230만 달러(약 4218억원)의 63%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지 흐름 자체가 긍정적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한한령 완화, K팝을 통한 음원·공연 수익도 흑자 확대에 영향을 줬다고 추측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