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화해·치유재단 해산’ 시사에 일본 언론의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엔 총회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호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엔 총회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호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된 화해‧치유 재단의 종결을 거론한 데 대해 일본 언론들이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인다고 유재순 일본 JP뉴스 대표가 전했다.

"북에 조력 아끼지 않겠다" 일본 언론도 놀란 아베 연설

유 대표는 27일 MBC라디오 ‘이범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입장에서 기존 위안부 합의에 대한 실질적인 파기라고 받아들이는 분위기”라면서도 “반응을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그 이유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북일정상회담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꼽았다.

아베 총리는 25일 제73회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과의 국교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특히 “북한이 가진 잠재력이 발휘되도록 조력을 아끼지 않겠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직접 마주 볼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전체 연설 분량의 80%가량을 할애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강하게 비난하고 국제 사회에 대한 대북 압력 강화를 호소하던 지난해와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

이에 대해 유 대표는 “일본 언론조차도 깜짝 놀랄만한 파격적인 내용의 연설을 했다고 일제히 보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민감한 문제가 될 수도 있는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서는 언급을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는 것이 유 대표의 설명이다.

유 대표는 또 화해‧치유재단 마련을 위해 일본이 출자한 10억엔에 관해서는 “일본 정부는 반환이나 기타협상에는 일절 대응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계속 고수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외무성이나 일본 정부 관계자조차도 이러한 정책으로 일관되게 나갈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단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5년 12월 한일위안부 합의에 따라 이듬해 7월 출범했다. 재단은 일본이 출연한 10억엔(약 99억원)으로 피해자와 그 유족에 대한 치유금 지급 사업을 했고, 생존 피해자 34명, 사망자 58명에게 치유금으로 44억원이 지급됐다. 그러나 이사진 중 민간인들이 작년 말까지 전원 사퇴하면서 재단은 사실상 기능 중단 상태가 됐고, ‘일본군 성노예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주도로 지난 3일부터 재단 해산을 요구하는 릴레이 시위가 시작됐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