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 제자리를 찾아야죠”-신임 정원식 문교장관에게 듣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최근 자율화·민주화 추진과정에서 교육계의 의견이 「양극화」 되는 우려할 상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교육의 본질을 그르치지 않는 의견의 접근점을 찾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읍니다.』
산적한 난제를 안고 몸살을 앓고 있는 교육계의 새 총수로 임명된 정원직 문교부장관은 『교육과 교육 가족에 대한 애정, 사명감을 갖고 우리 교육이 제자리를 찾는 일에 최우선의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현재의 고질적인 학원소요를 「전환기의 격동」으로 파악, 학원의 안정을 가져오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되 이는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역량의 함양으로 이룩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정 장관은 특히 교육법 개정안·교장 임기제·교원의 노동3권 보장 등을 둘러싼 교육계의 파문을 「우려할만한 의견의 양극화 현상」으로 파악, 교육의 본질을 그르치지 않는 범위에서 「근사적 접근점」을 찾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정 장관은 개인적인 소신으로는 「교원의 노동3권 보장」이 바람직스럽지 않다고 조심스럽게 견해를 밝혔다.
정 장관은 『교육이 지식 전달보다 인간교육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전제, 현재 논의되고 있는 과외허용 문제에 대해서는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할 때 간단히 처리하기는 어려운 일』이라고 신중론을 폈다.
이와 관련, 정 장관은 『교육이 정치적인 영향력을 받거나 이에 오염되어서는 곤란하다』 며 교육의 중립을 지키는 정책을 강조했다.
정 장관은 현재 정부에서 교육의 민주화·자율화를 추진하는 속도보다 학원이나 교육종사자·사회의 기대가 앞서가고 있다고 진단하며 교육의 민주화·자율화는 너무 서둘러 추진하기보다 시간을 갖고 난제를 하나하나 풀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임 김영식 장관보다 대학 2년 선배인 정 장관은 자신의 행정 스타일이 『원칙이나 방향이 정해지면 강력히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해 교육계의 난제 해결을 위한 의욕을 보였다.
문교부와의 인연은 4·19이후 오천석 장관 비서관을 지낸 경력이 있다.
69년 이후 서울 화곡동 주택에 살면서 주민축제를 마련하는 등 지역사회 개발운동을 벌여왔다.
대학은 물론 초·중등교육계에도 누구보다 지면이 많은 정 장관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기간을 제외하면 서울대를 떠나지 않은 채 교육계 인사의 대소사에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전임 이현재 총리때도 장관 물망에 올랐었다. <한천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