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사태 방송위서 중재 나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새 경영진 선임 및 정부측의 MBC위상안 공개요구와 관련한 파업여부 결정시한이 이틀 앞으로 임박한 가운데 방송위원회가 MBC사태수습을 위한 막후조정에 나설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모으고 있다, 방송소식통에 따르면 정부 고위당국자와 강원룡방송위원장, 최석채M BC회장, 서영훈KBS사장은 최근 MBC사대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방송위원회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정부측의 입장과 MBC사원들간의 입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데 의견을 함께 했다는 것. 강원룡위원장은 29일『새 방송법이 연말까지 KBS소유주식 70%를 처분해야한다고 규정한 입법취지는 정부가 방송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말하고 이 같은 자신의 입장을 정부관계자에게도 전달했다고 밝혔다.
MBC노조는 새 경영진 구성과 MBC위상정립에 관한 정부의 입장과 복안을 밝힐 것을 촉구하기 위해 정기평위원장 등이 29일 중으로 정한모문공장관을 면담키로 했다.
MBC노조의 정기평위원장 등은 이에 앞서 28일 오후 정대철국회문공위원장을 방문, MBC위상과 관련된 국회차원의 입법조치 등 제반문제에 관해 협의했다.
MBC의 회사정책연구개발팀(팀장 노영일기획실장) 10명과 노조회사발전위원회(간사 이세용) 대표4명은 28일 첫 모임을 갖고 가칭 MBC위상정립추진협의회를 구성, 빠른 시일 내에 MBC위상에 관한 단일안을 마련키로 잠정 합의했다.
또 양측은 앞으로 전 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사내토론·공청회 등을 통해 광범위한 여론을 수렴한 뒤 단일안을 확정, 이를 홍보키로 합의했다. 회사정책개발팀은 ▲공익재단 51%이상+국민주 39%이하+사주조합 15%이하 ▲공익재단 51%이상+사주조합 20%이하+정수재단 30%이하의 2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날 양측이 제시한 공익 재단·국민주·사주조합의 혼합방안은 방송위원회 안과는 구성비만 다를 뿐 유사한 방안이고 정부측의 농어촌 영세민자녀 장학사업을 위한 공익재단설립안과는 상당한 거리를 두고있다. 양측안은 또 정치권력과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하경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