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석달 째 2만명 대…가팔라지는 인구 절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출생아 및 사망자 수 추이. [통계청 제공]

출생아 및 사망자 수 추이. [통계청 제공]

월별 출생아 수가 석 달 연속 2만 명대를 기록했다.

통계청 6월 인구동향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6월 출생아는 2만 64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00명(-8.7%) 감소했다. 1981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6월 기준으로 역대 최저치다.

이로써 1~6월 누계 출생아 수도 17만 16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8만 8100명)보다 1만 6500명(-8.8%) 줄었다.

석 달 째 출생아 수가 2만 명대로 주저앉으면서 2분기 합계 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 수)은 0.97명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0.08명 감소한 수치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정부 전망대로 연간 기준 역대 최저였던 지난해(1.05명)는 물론, 1명에도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달 합계출산율은 1.0명 아래로 떨어지고, 출생아 수는 약 32만 명으로 더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한 자료를 공개했다.

저출산 가속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꼽히는 비혼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6월 혼인 건수는 2만 60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00건(-7.6%) 줄었다.

혼인 건수가 줄면서 이혼 건수도 860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0건(-4.4%) 감소했다.

한편 고령화에 따라 사망자는 늘었다. 6월 사망자 수는 2만 26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600명(2.7%) 증가했다.

홍주희 기자 hongh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