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학생들 교육감면담 요구|재단측, 비리 해결책 제시 못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재단비리문제로 석달째 진통을 겪고있는 서울정희여상 사태는 학생·교사들이 지난 17일이후 검찰청·시교위 등으로 몰려가 재단이사장 및 교장의 퇴진·구속수사 등을 요구하며 본격 「실력행사」에 나서면서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20일 오후10시20분쯤엔 시교위에서 4일째 철야농성을 계속해온 교사33명과 동조농성을 벌이기 위해 몰려간 학생들을 경찰이 물리력으로 막으며 학생 1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폭력사태까지 발생, 사태가 더욱 악화됐다.
정희여상의 학교운영비리가 처음 문제된 것은 지난 8월22일 전체교사 48명중 38명이 「평교사협의회」를 구성, 학교비리의 시정을 요구하면서부터.
교사들은 국정감사 제출자료 등을 토대로 공금횡령 등 비리에 대한 재단측의 해명과 시정조치를 요구한 것.
10월중순부터는 학생들이 교사들의 비리시정 요구서명에 참가하지 않은 일부교사들에 대해 수업거부 움직임을 보이자 협의회에 가입하지 않은 교사 10명이 출근을 하지 않기 시작했고 교장과 이사장도 학교에 나오지 않는 가운데 성적처리까지도 마비되는 공백상태가 계속돼온 것.
교사들이 주장하는 학교비리는 ▲85년이후 학생수업료와 육성회비·교사봉급 등에서 8억∼10억원의 공금횡령 ▲결혼을 이유로 한 여교사 4명 해고 ▲학생수가 정원의 10%가 줄자 담임교사인 윤모씨를 시간강사로 강등시키는 등 교권침해 ▲교사임용시 시간강사로 채용한 뒤 서류상으로는 정식교사로 임용한 것처럼 시교위에 허위 보고하는 등 10여개 항목.
교사와 학생들은 이에 따라 검찰과 시교위에 ▲비리관련자의 수사 처벌 ▲철저한 비리조사 및 관선이사 파견 등을 요구하고 나선 것.
한편 재단측은 지난 15일 임시이사회를 열어 안상수이사장이 물러났으나 교사·학생들이 주장하는 각종 비리에 대해서는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여서 감독청인 시교위가 적극적으로 개입, 사태해결에 나서지 않을 경우 수습이 어렵게 됐다. <문병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