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장군들 "한민구 전 국방 지시로 계엄 문건 작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7월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연합뉴스]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7월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연합뉴스]

계엄령 관련 문건을 작성한 박근혜 정부 국군기무사령부 실무자들이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 지시로 계엄 절차를 검토했다고 밝혔다.

 24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기무사 소강원 참모장(소장)은 "조현천 기무사령관이 한민구 국방부 장관 지시라며 위수령과 계엄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자료를 만든 과정에 대해 "8장짜리 원본(전시계엄 및 합수업무 수행방안)을 만들고 나서 조 사령관이 당시 한 장관께 보고할 때 궁금한 점이 있으면 참고할 수 있도록 67쪽짜리 자료(대비계획 세부자료)를 같이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소 참모장은 조 사령관이 한 장관에게 보고할 때는 동석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다만 조 사령관으로부터 한 장관의 반응을 전해 들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계엄 문건에 대해 보고를 받은 한 장관은 조 사령관에게 "알았다"고 말했으며 "나중에 훈련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존안해놓으라"고 지시했다.

조현천 국군기무사령관이 24일 오전 서울 국회 정보위원회 국군기무사령부 국정감사에서 의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조현천 국군기무사령관이 24일 오전 서울 국회 정보위원회 국군기무사령부 국정감사에서 의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소 참모장과 함께 문건을 작성한 기무사 기우진 처장(소장)도 이날 회의에 출석해 "당시 기무사령관이 장관 지시라며 위수령과 계엄 절차를 검토해보라고 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 사령관이 자체적으로 생각한 것이 아니고 한 장관으로부터 만들어보라는 지시를 받아 실무 요원들에게 지시한 것이냐"고 질문하자 기 처장은 "제 기억은 그렇다"고 답했다. 

이에 김 의원은 "이 문건의 실체를 밝힐 때 지시자의 말단은 조 사령관이어야 한다"며 "그 윗선의 지시자를 찾아내지 못하면 청문회를 하든 특별수사를 하든 소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