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렌터카 교통사고 급증…20대 가장 많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로교통공단(이사장 윤종기)은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을 맞아 자주 발생하는 렌터카사고의 특성을 분석, 23일 발표했다.

도로교통공단이 최근 5년(2013~17년) 간 발생한 렌터카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총 3만3137건이 발생해 538명이 사망하고 5만4967명이 부상했다. 사고 건수의 18.5%(6140건)가 여름휴가철(7~8월)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7~8월 휴가철에는 하루 평균 19.8건의 렌터카 교통사고가 발생해 평소 17.8건보다 11.2% 증가했다.

특히 7~8월 휴가시즌 렌터카 교통사고는 20대가 가장 많은 33.8%(2073건)를 차지했고 사망자도 45.6%(41명)나 됐다. 또 20대는 휴가철 음주운전 사고도 가장 많은 30.%3로 30대(28.5%)보다도 많았다. 렌터카 음주운전 사고 사망자도 20대가 58.3%(7명)으로 가장 많았다.

휴가철 렌터카 사고는 하루 중 폭염으로 집중력과 주의력이 떨어지기 쉬운 오후 2~4시에 가장 많이 발생했고, 사고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치사율(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은 오전 4~6시(3.0명)와 오후 8~10시(2.9명)가 다른 시간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휴가철 렌터카 사고 운전자의 법규위반 사항을 보면 전방주시 태만 등 부주의에 의한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58.6%)이 가장 많았고, 안전거리 미확보(10.4%), 신호위반(10.2%),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5.7%) 등의 순이었다.
휴가철 렌터카 사고의 상대로는 자가용 승용차가 38.6%로 가장 많은 가운데 보행자 18.2%, 이륜차 9.9%, 택시 9.6% 등의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도로교통공단 성락훈 통합DB처장은 “렌터카 이용자 중 젊은 층은 운전 경험이 많지 않은 만큼 위험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분하고 신중한 운전이 요구된다”면서 “또한 휴가지에서 들뜬 마음에 음주운전을 할 수 있는데 이는 본인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니 절대 하지 말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