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공업 집중육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정부는 국내정밀화학공업을 집중적으로 육성, 물질특허도입에 따른 대응력을 키우기 위해 오는 91년까지 2천1백72억원을 투입. 이 분야에 4개 신물질과, 3백개 수입대체 및 수출유망품목을 개발해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수입대체 및 수출유망품목에는 품목당 개발비 2억원 중 50%를 정부가 지원하며 신물질도 전체개발비의 70%인 4백76억원(정밀화학 3백8억원, 유전공학 1백68억원)을 정부가 투자하기로 했다.
정부는 20일 경제기획원에서 문희갑 경제기획원차관 주재로 물질특허종합대책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국내 정밀화학공업 중장기육성계획을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오는 2001년까지 정밀화학분야에서 10개, 유전공학분야에서 10개 등 모두 20개의 신물질을 개발한다는 장기목표를 세우고 우선 91년까지 정밀화학공업육성을 위해 유전자공학센터 내에 유전자 은행을 신설하고 올림픽이 끝난 뒤 올림픽조직위원회의 도핑컨트롤센터를 인수, 약물분석센터로 활용하는 등 관련연구시설을 보강하기로 했다.
또 정밀화학분야의 상호운영비용 절감을 위해 1개 정밀화학공업단지를 조성하고 이 분야의 해외판매 및 기술정보수집을 위해 무역·진흥공사(KOTRA) 및 산업연구원(KIET) 부실산업기술정보 종합센터의 상담 및 산업기술정보제공기능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