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소비자 물가 7·4% 상승"|농산물은 상대적 약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지금까지는 농산물가격이 전체 물가상승을 주도해 봤으나 9월 이후는 노사분규에 따른 높은 임금인상, 국제원자재가격 상승 등이 공산품가격상승을 불러와, 공산품 값 상승이 물가인상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8일 한은이 분석한 연말 물가전망에 따르면 물가는 9월 이후에도 오름세를 지속해 연말에 도매물가는 3·1%(전년 말 대비) 소비자물가는 7·4%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물가가 두 자리 숫자는 넘지 않더라도 정부가 한차례 수정하여 내놓은 억제목표선 (도매 2∼3%, 소비자 6∼7%)를 웃도는 것으로 81년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전망에 따르면 농산물 값은 상대적으로 지난해 작황이 좋지 않았던 반면 배추·고추·사과 등이 올해는 풍년으로 값이 떨어지고 쇠고기도 10월부터 수입이 재개되면서 값이 내려 농산물가격은 9월 이후 연말까지 1%남짓(소비자물가)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공산품은 노사분규로 임금이 크게 오른 데다(올해 제조업 명목 임금상승률 19·7%예상), 국제원자재 가격상승, 그리고 작년이후 계속된 펄프·핫코일·냉연강판 등 일부품목의 수급불균형이 이어지면서 그 영향이 도매물가에 파급되어 2∼3%의 높은 상승을 보이고 그 같은 도매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도 끌어올릴 전망이다.
한은은 앞으로 물가가 전체적으로 보아 경기과열에 따른 수급불안정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통화량증가, 임금인상의 제품가격 전가 등으로 불안요인은 많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흑자조정정책과 재정지출 억제로 통화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관세 및 특소세 인하, 흑자재원을 이용한 소비재 수입확대, 그리고 담합에 의한 서비스 요금인상 규제 등을 강력히 밀고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