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용 실ㆍ스텐트…생분해성 이식물 염증 크게 줄이는 기술 나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

.

 수술용 실이나 혈관 확장용 스텐트 등 생분해성 인공 이식물을 쓸 때 생기는 염증을 획기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의과학대학교의 한동근ㆍ박우람 교수와 미국 시카고대 제프리 허블 교수가 공동연구를 통해 수산화마그네슘 나노입자를 이용해 생분해성 고분자 임플란트(인공이식물)로 인한 염증반응을 대폭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

.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체 이식 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해돼 사라지는 특성이 있다. 수술 부위 봉합, 조직 재생, 약물전달 등 다양한 의료기기ㆍ재료의 원료로 이용된다. 하지만 이들 고분자가 생체 내에서 분해되면서 산성 물질을 만들기 때문에 심각한 염증반응이 유발된다는 부작용이 있다. 지금까지는 이를 억제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었다.

.

.

연구팀은 사람이 복용하는 제산제에 이용되는 수산화마그네슘(Mg(OH)2)의 pH 중화 효과에 주목했다. 이들을 나노입자 형태로 생분해성 고분자 의료기기에 첨가했다. 무독성인 수산화마그네슘 나노입자가 낮은 pH로 산성화된 조직 내 환경을 중화시키기 때문에, 조직세포가 생존하고 염증이 현저하게 억제된다. 특히 나노입자를 표면 처리해 뭉쳐지지 않은 개별 크기로 사용하면 그 효과가 크게 증가된다.

'

'

한동근 교수는 “이 연구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는 거의 모든 기존 생체이식 의료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원천 핵심기술로서, 사업화되면 관련 의료기기의 수입 대체 및 수출 산업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5월 29일 자에 게재됐고, 미국과 한국에 관련 특허가 등록됐다.

한동근 교수

한동근 교수

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