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문제 주도권 노리는 중국, 12월 한·중·일 정상회의 제안"

중앙일보

입력

중국 정부가 오는 12월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자고 한국과 일본 정부에 제안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외교소식통의 말을 인용, 18일 보도했다. 이미 지난달 일본 도쿄(東京)에서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린 바 있으나, 차기 회의 개최국인 중국이 북한 문제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조기 개최를 희망하고 있다는 것이다.

日 교도통신 보도, 연 2회 개최는 이례적 #북한 문제 주도, 무역 갈등 겪는 美 견제 목적

지난 5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7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오른쪽부터). 김상선 기자

지난 5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7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오른쪽부터). 김상선 기자

한·중·일 정상회의는 매년 1차례 3국이 번갈아 주최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지난 2015년 11월 서울에서 열린 후 중국 측의 소극적인 자세로 2년 반 정도 개최되지 못했다. 이번에 중국이 이례적으로 연내 두 번째 개최를 제안한 것은 한국, 일본과 북한 비핵화 관련 공조를 강화하면서 북한 문제에서 이니셔티브를 취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통신은 분석했다.

또 한·중·일 3국의 연대를 대외적으로 강조해 중국에 무역 압박을 가하고 있는 미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통신은 일본 정부가 중국의 이 제안에 어떻게 답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일본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단독 방중에 더 의욕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 주변에서는 오는 9월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외교 실적을 높이기 위해 이번 여름 안에 아베 총리가 중국을 방문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영희 기자 misqui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