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국제표준 완성 … 상용화 빨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차세대 이동통신 5G에 대한 국제 표준이 완성됐다. 14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이날 미국 라호야에서 개최된 3GPP(이동통신 표준화 국제협력기구) 80차 무선총회에서 3GPP 및 글로벌 통신사,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 스마트폰 제조사 등 50여개 업체가 5G 국제 표준을 발표했다.

세계 50여 업체 참여 회의서 공표 #SKT·KT도 기술·주파수 선정 기여

이번 5G 국제 표준은 이동통신 데이터 송·수신 모든 영역을 5G로 처리하는 ‘단독모드(SA·Standalone)’ 규격을 포함한다.

5G 국제 표준이 완성됨에 따라 5G 상용 단말·장비 및 네트워크 구축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전 세계 통신사와 제조사는 3GPP가 정한 글로벌 표준 규격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 등의 상용 장비를 만들게 된다. SK텔레콤은 이날 표준 공표 후 보도자료를 내고 전파 송수신 기술, 네트워크 가상화, 대용량·초저지연 데이터 전송 기술 등 5G 기술을 3GPP 회원사에 공유하며 표준 완성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원장은 “세계 이통사, 제조사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5G 글로벌 표준이 적시에 완성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5G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든 회사들과 함께 모바일 혁신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KT는 이번 총회에서 28㎓ 주파수 대역 연구보고서 최종본을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5G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28㎓ 대역이 세계 최초의 5G 초고주파 표준 대역으로 정식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KT 측은 설명했다.

KT는 같은 회의에서 한국의 5G 상용 주파수인 3.5㎓와 28㎓간 연동기술 표준도 우리나라 사업자를 대표해 제안했다.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 서창석 전무는 “KT는 기술 표준 외에도 상용 기술 등 5G 기술 전 영역에 있어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KT는 5G 기술력을 기반으로 2019년 3월 세계 최초 5G 상용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