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아슬아슬한 한국경제...생산 증가 불구 소비,투자 감소

중앙일보

입력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주요 경제지표가 엇갈리면서 한국 경제가 여전히 명확한 성장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생산과 건설이 증가세를 보였지만 소매판매와 설비투자는 부진한 모습이었다.

통계청이31일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4월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1.5% 증가했다. 2016년 11월(1.6%)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전체 산업생산은 2월과 3월, 2개월 연속 감소했다가 증가로 반전했다.

반도체(9.9%), 자동차(6.7%) 생산이 많이 늘어나 광공업이 3.4%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금융위기 때 수준으로 추락했던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전월보다 2.2%포인트 상승한 72.5%로 다소 회복됐다. 하지만 제조업 재고가 전월 대비 1.3% 늘어난 것은 불안 요인이었다.  서비스업은 보합세였다.

4월 산업활동동향

4월 산업활동동향

2개월 연속 감소했던 건설기성도 4.4% 증가로 반전했다. 건설기성은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토목(-5.6%)은 감소했지만, 건축(8.1%) 공사 실적이 늘었기 때문이다.

반면 3개월 연속 증가했던 소매판매(소비)는 4월 들어 1% 감소했다. 가전제품 등 내구재(1.2%)는 증가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6.0%)가 줄어든 탓이다. 3월에 7%대 급감했던 설비투자는 4월에도 3.3% 감소하면서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밀기기 등 기계류(2.1%) 투자는 증가했지만, 항공기 등 운송장비(-17.4%) 투자가 많이 줄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졌고,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세종=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