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에도 빈 점포 … 서초구 폐업이 창업 3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진수(54)씨는 지난해 6월 퇴직금 등을 털어 서울 잠실의 상가 지하 1층에 99㎡ 규모의 프랜차이즈 음식점을 열었다. 하지만 개업 첫달 빼고는 매달 적자가 났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5명이던 직원을 3명으로 줄였지만 적자는 더 늘었다.

절벽 내몰린 320만 소상공인 #지난 1년 소상공인 경영실태 조사 #“최저임금·임대료 탓 경영 힘들다”

김씨는 “계약 기간이 남아 폐업도 할 수 없어 겨우 지인에게 가게를 넘겼다. 시설비 1억5000만원만 날린 셈”이라고 말했다.

‘길거리 서민 경제’의 신음 소리가 깊어지고 있다. 반도체 등 일부 업종의 호황으로 경제성장률(1분기 1.1%)은 나쁘지 않지만 소득·소비가 정체되면서 밑바닥 경기는 차갑게 식어가고 있는 탓이다.

관련기사

이는 중앙일보가 법정 경제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와 공동으로 조사한 ‘소상공인 경영 실태조사’에서도 드러난다. 총 505명의 소상공인이 응답한 이번 조사에서 100명 중 89명은 ‘1년 전보다 경영이 어려워졌다’고 답했다.

원인으로 응답자 10명 중 3명가량이 ‘최저임금 인상’을 꼽았고 다음으로 ‘높은 임대료’라고 답했다. 2016년 기준 소상공인은 320만 명에 달한다.

길거리 경제 불황의 그늘은 최고 부촌인 서울 강남 지역에 제일 먼저 찾아왔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창업에 비해 폐업이 가장 많은 지역이 서울이었다. 특히 서초구의 경우 폐업이 창업의 세 배였다.

이지만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는 “정부는 통계를 보고 경기회복을 말하고 있지만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한 바닥 경제는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준호·함종선 기자 joo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