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야당일각의 퇴진요구 뒤 사의표명설이 한때 나돌았던 최기덕 철도청장은 『거취결정은 임명권자의 뜻에 따를 뿐』이라며 항간의 사의표명설을 부인했다. 기관사 파업사태 수습 후 처음 그를 만났다.
-사의표명설은 사실인가.
『청장부임후 단 한번도 자리에 연연한 적은 없지만 순간적인 판단으로 사표를 내던지는 것은 공인의 도리가 아니다. 공인의 진퇴는 임명권자의 뜻에 달려있다. 그 뜻에 따를 뿐이다.』
-지난번 파업에서 청장의 고압적인 자세가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고압적」이란 지적은 내가 군 출신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나온 것 같다. 기관사 파업기간 중 특별단체교섭위 간부들과는 수차례 대화를 나눴다. 농성근로자들 앞에도 두차례나 직접 나가 설득했다. 그러나 분규의 쟁점이 됐던 요구사항들이 대부분 내 재량으로 처리할 수 없는 정부예산과 관련된 것이어서 설득에는 한계가 있었다.』
-경영합리화를 이유로 한 무리한 인원감축이 업무를 가중시켰고 이것이 기관사들의 불만을 누적시킨 큰 요인이었다는 지적은 어떻게 보나.
『83년 4만명이던 직원이 3만8천여명으로 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기계자동화· 철도식당·병원민영화 등에 따른 감원일 뿐이지 인건비절감을 위해 무리하게 인원을 감축시킨 것은 결코 아니다. 이 기간중 기관사는 오히려 1천4백명 충원했다.』
-아직도 불씨는 남아있는 것 아닌가.
『하의상달의 통로가 원활히 트이지 못했던 것이 기관사들의 불만을 누적시킨 한 요인이라고 본다. 앞으로 작업현장을 방문해 현장 근무자와 대화를 나누고 철도주보·월보 등을 발간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령하겠다.』
해군 제2차장(해병대사령관)을 지낸 3성 장군. 해병대 출신답지 않게 술·담배 등과는 거리가 먼 학구파.
83년1월 부임이후 신혼·관광열차운행, 민자역사건립, 한일공동승차권 발매제 등 참신한 아이디어와 다각적인 철도경영 개선으로 83년 3백62억원에 달했던 적자를 37억원으로 끌어내린 「업적」을 이룬 그는 『뒷수습을 깨끗이 마무리지어 후임자에게 부담을 남기지 않고 물러서는 것이 전임자의 도리』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창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