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경제특구 내년 설치" |주변국 개방정책 따라 신중 검토 |소특구엔 한국진출 희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동경=최철주특파원】소련과학아카데미의 「블라디미르·티코미로프」동양학 연구소 아시아·태평양부장은 17일 노태우대통령의 「7·7선언」이 『남북한 긴장완화를 위해 문을 열었으나 북한이 이문을 이용할 것인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라고 말하고 그러나 이 선언이『소련-한국간의 정치적 기후를 변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혀 양국 관계개선에 도움이 될것임을 시사했다.
동양학 연구소에서 한국·북한·일본등 아시아·태평양지역 문제 총책임자인 「티코미로프」는 일·중등 학자가 참가한 한반도통일문제 국제학술회의가 끝난뒤 이날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소련이 곧 설치할 예정인 극동지역의 2개 경제특구를 통해 한국기업의 진출을 희망하고 있으며 『일본기술보다는 한국기술을 더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그는 소련이 이의 수입을 촉진하기 위해 중국과 경쟁적으로 한국과의 경제교류를 확대하는 정·경분리 정책을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한-소간에 외교관계가 없기 때문에 한국기업의 대소투자는 형식상 일본등 제3국과의 합작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이 현재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형편에 있으면서도 「고르바초프」소서기장의 개방정책을 지지하고 있으며 북한내의 경제특구문제를 매우 신중히 검토, 적어도 내년에는 설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티코미로프」는 소련의 대 한반도정책수립에 중요 역할을 하고 있는 동양학 연구소 산하「아시아·태평양지역문제 과학위원회」의 부회장이기도하다.
한편 중국의 현대국제관계연구소의 부주임인 이창환씨도 북한이 경제특구를 설치할 가능성이 높다고 이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