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과 신재생 함께 키울 수 있다…원전수출 국민행동, 21일 국민통합대회 개최

중앙일보

입력

‘원전수출 국민행동(이하 원국행)’이 21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에서 ‘세계로 원전수출, 하나로 경제성장’이란 슬로건 아래 국민통합대회를 연다. 원국행은 원전 산업 육성과 수출 확대를 촉구하는 시민운동기구로 원전 관련 기관과 학계·산업계·노동계·여성계·청년대표 등이 모여 지난달 출범했다. 원국행은 출범 한달 만에 3000명의 회원을 모았다. 주최 측은 국민통합대회에 5000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한다.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전경. [연합뉴스]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전경. [연합뉴스]

국민통합대회에선 전국 원자력공학과 학생 대표들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서한을 공개 낭독하는 시간을 갖는다. 행사 후엔 청와대 방향으로 거리 행진 퍼포먼스도 진행하기로 했다. 원국행 관계자는 “이번 통합대회는 진보와 보수, 세대 간 간극을 치유하는 국민 화합의 한마당이 될 것”이라며 “100만인 지지 서명과 전국 투어 등을 통해 정부의 원전 수출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통합대회의 대회장으로 위촉된 정근모 전 과학기술부 장관은 사전에 공개한 대회사를 통해 “원전은 첨단 과학기술의 꽃”이라며 “원전 수출을 위한 국민통합대회는 과학기술의 미래로 나아가는 국민운동”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태양광이든 원자력이든 뿌리는 같은데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이 둘로 갈라져서 분열하고 대립하면 안 된다”며 “현명한 국민은 둘을 친구로 만들어 미래로 나아간다”고 말했다. 정 전 장관은 국제원자력협력기구(IAEA) 이사회 의장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자력국제자문위원을 역임했다.

공동 대회장을 맡은 이종훈 전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원전 수주 경쟁의 요체인 건설 공기와 건설공사비 경쟁력은 우리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원전 건설을 놓고 국론이 둘로 갈라졌다는 사실이 해외에 알려지면 수출 전선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세계원자력협회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160여 기의 원전 건설이 계획돼 있다. 이 가운데 중국·러시아 등 자국 내 건설 물량을 제외하면 한국은 최대 70여 기의 원전 건설을 노려볼 수 있다는 게 원자력 업계의 판단이다. 최소 3000억~4000억 달러에 달하는 신시장이 생긴다는 얘기다.

원국행 본부장을 맡은 황일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원전은 700개 기업이 연간 25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직간접 고용이 25만 명에 달하는 효자 산업”이라며 “매출 1경 5000조원에 달하는 세계 에너지 시장의 1%만 점유해도 전체 수출액의 30%를 달하는 새로운 ‘옥동자’가 탄생한다”고 말했다.

아랍에미리트(UAE)를 공식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3월 26일 오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호기 건설완료 행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아랍에미리트(UAE)를 공식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3월 26일 오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호기 건설완료 행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원국행은 탈원전 기조를 유지하면서 원전 수출을 추진하는 모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태양광 발전단가가 아직 원전의 4배인데 이를 쓰면 L당 1500원짜리 기름을 넣다가 6000원짜리 기름을 넣는 셈”이라며 “재생에너지가 다른 발전원과 경쟁할 수 있을 만큼 성장하려면 큰 형님(원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와 원전 둘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할 것으로 보지 말고, 함께 키워나가자는 지적이다.

원국행은 또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사업 수주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촉구할 계획이다. 사우디 정부는 현재 1400MW급 원전 2기를 짓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비 규모가 최소 22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발주처인 사우디 원자력재생에너지원은 4월 말 또는 5월 초 숏리스트(예비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한국과 미국·프랑스·러시아·중국이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얼마 전 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전 1호기를 완공한 한국은 숏리스트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