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보다 위험한 저체중…삶의 만족도 낮고 자살 위험 높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신 건강에선 비만보다 저체중이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정신 건강에선 비만보다 저체중이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일반적으로 비만은 성인병 등 각종 질환의 근원으로 여겨진다. 살이 찔수록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게 상식이다. 하지만 정신 건강으로 들어가면 양상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5905명 분석 공개 #자살 생각할 비율, 마른 사람이 더 높아 #스트레스, 삶 만족도 저체중만 '노란불' #"마른 몸매에 집착하는 문화 바뀌어야"

살 찐 사람보다 마른 사람의 삶의 만족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홍진표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이러한 내용의 논문을 18일 공개했다. 만 18~74세 한국인 5905명의 체질량지수(BMIㆍ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와 삶의 만족도, 자살 위험 등을 비교 분석했다. 국내에서 BMI와 자살 관련 행동의 상관성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에 ▶자살을 생각해 보거나 시도한 적이 있는지 ▶매일 스트레스를 얼마나 경험하는지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등을 물었다. 그랬더니 저체중군(BMI 18.5 미만)은 자살을 실제로 시도할 가능성이 정상체중군(BMI 18.5~22.9)의 2.4배에 달했다. 또한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체중은 자살을 생각하는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다. 자살을 머릿속에 떠올리는 비율은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의 1.6배였다. 비만군(BMI 25 이상)은 정상체중군의 1.3배로, 마른 사람보다는 자살 생각 위험이 낮은 편이었다.

삶에 대한 만족도도 마른 사람은 나빴다. 저체중군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심한 스트레스를 겪을 가능성이 1.7배 컸다. 삶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도 1.3배에 달했다. 저체중군의 10명 중 8명은 젊은 미혼 여성이었다. 실제로는 비만이지 않은데도 스스로 살이 쪘다고 믿는 경향을 보인 것과 무관치 않다.

부적절한 다이어트에 따른 저체중은 스트레스와 우울감 등으로 이어지기 쉽다. [중앙포토]

부적절한 다이어트에 따른 저체중은 스트레스와 우울감 등으로 이어지기 쉽다. [중앙포토]

이처럼 저체중이 비만보다 더 위험하게 나온 건 사회적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마른 몸매가 성공적인 자기 관리로 여겨지는 한국사회에서 금식ㆍ구토ㆍ과도한 운동 같은 부적절한 ’다이어트‘ 행동이 나오기 쉽다. 저체중 자체가 일상의 스트레스이자 우울감 등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관련 기사

홍진표 교수는 ”그동안 간과됐던 저체중 성인에서의 정신 건강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연구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마른 체형에 집착하는 문화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영문학술지 ’정신 의학 연구(Psychiatry Investigation)‘ 최근호에 실렸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