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미 수출 10% 줄면 한국의 중국 수출액도 연 30조 손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미국이 이르면 5월 말부터 500억 달러(약 54조원) 규모 중국 수입품에 25%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한국 산업계가 ‘고래 싸움에 등 터지는 새우’ 신세에 놓이게 됐다.

무역전쟁 한국 산업 피해는

4일 현대경제연구원은 미국의 25% 고율 관세로 중국 제품의 미국 수출이 10% 줄면 한국의 대(對)중국 연간 수출액도 282억6000만 달러(약 30조4900억원)가량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 수출액(약 1421억2000만 달러)의 20%에 육박하는 수치다.

세부 품목으론 전기장비(109억2000만 달러), 정보기술(56억 달러) 등 첨단산업 분야와 석유화학(56억 달러) 등의 피해액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의 미국 수출량이 줄면 중국으로 수출하는 한국 중간재(완성품에 들어가는 재료와 부품) 수출이 시차를 두고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한국이 지난해 중국에 수출한 중간재는 1121억 달러(약 119조원) 규모로 전체 중간재 수출의 78.9%였다.

관련기사

정재원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산과 저가 경쟁을 하는 일부 품목은 반사 이익이 있을 수도 있지만,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제품은 중국 제품과 경합하지 않아 미국이 중국산 수입을 줄여도 수혜를 보긴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했다.

더 큰 문제는 미·중 간 무역전쟁이 전 세계적으로 퍼질 경우다. 한국무역협회는 미·중 무역전쟁이 미·유럽연합(EU) 간 관세 조치로 확산하게 되면 한국이 연간 367억 달러(약 39조원)의 엄청난 피해를 볼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중국, EU 간 관세율이 현재보다 10%포인트 높아지면 세계 무역량은 6% 줄고, 한국 수출액도 6.4%(약 367억 달러)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