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고려대·연세대, 올해 10명中 6명 ‘학종’으로 뽑는다

중앙일보

입력

2019학년도 입시에서 서울대ㆍ고려대ㆍ연세대 등 최상위권 대학이 신입생 10명 가운데 6명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뽑는다. [사진 각 대학 홈페이지]

2019학년도 입시에서 서울대ㆍ고려대ㆍ연세대 등 최상위권 대학이 신입생 10명 가운데 6명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뽑는다. [사진 각 대학 홈페이지]

서울대ㆍ고려대ㆍ연세대 등 최상위권 대학이 올해 진행될 2019학년도 입시에서 신입생 10명 가운데 6명을 학생부종합전형(학종)으로 뽑기로 했다. 4년 사이 모집인원은 2000명 이상, 모집인원 비율은 19.1%포인트 높아졌고, 이에 따라 같은 기간 수능전형 모집비율은 24.9%에서 19.4%로 5.5%포인트 줄었다.

1일 교육부가 2015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서울대ㆍ연세대ㆍ고려대의 전형유형별 모집인원을 분석한 결과 2015학년도 이들 학교의 학종 전형 모집인원은 4356명으로 전체 모집인원(1만1191명)의 38.9%였다.

올해 치러지는 2019학년도 입시에서 세 대학은 전체 모집인원(1만1133명) 가운데 60%에 가까운 6455명(58.0%)을 학종 전형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학생부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낮은 상황에서 이처럼 학종 전형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교육당국이 고민에 빠졌다. 학생부 중심 전형에 대한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전 영역 절대평가 전환, 논술 위주 전형 폐지 등 정부가 추진하는 다른 입시제도 개선책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대학들도 학종 전형을 빠르게 확대하는 추세다. 교육부가 분석한 결과 수도권 20개 대학 가운데 고려대 외에도 서강대ㆍ성균관대ㆍ동국대 등 8개 대학은 지난해 학종 모집비율이 전년 대비 10%포인트 이상 늘었다.

교육부가 최근 재정지원사업과 연계해 2020학년도부터 수시 수능 최저등급 기준을 완화ㆍ폐지할 것을 각 대학에 적극적으로 권고한 것도 대학들이 학종 전형을 갑자기 늘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는 해석이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