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과기부 이전, 행정수도 명문화 추진 … 세종시 들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정부부처 추가 이전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행정수도 명문화’ 당론 추진이 알려지면서 세종시가 다시 들썩이고 있다.

내년까지 가족포함 4000여명 이주 #두 부처 입주할 건물 유치전 예고 #개헌안 행정수도 포함 분양 호재

6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정부조직 개편(2017년 7월 26일)과 행복도시법 개정(1월 25일)에 따라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년 말까지 세종시로 이전한다.

정부서울청사에 있는 행안부와 정부과천청사에 입주해 있는 과기부는 세종시 민간 건물을 임대해 내년 말 입주할 예정이다. 2021년까지 세종시에 청사를 신축, 입주하게 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올해 예산에 행안부·과기부가 입주할 신청사 건축 설계비로 120억원을 반영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두 부처가 이전할 민간 건물이 이미 결정됐다. 광고해도 의미가 없다” “임시 이전할 건물 사이에서 유치전이 벌어질 것”이라는 엇갈린 전망이 나오고 있다. 부처 건물 관리를 담당하는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아직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했다.

두 부처의 이전에 따라 관계 공무원 1692명(행안부 915명·과기부 777명)이 이동한다. 해경 본청(493명)이 인천으로 돌아가더라도 순 유입되는 공무원 수만 1200여 명에 달한다. 가족까지 포함하면 4000여 명이 서울이나 과천 등에서 이주할 것으로 세종시는 전망하고 있다.

민주당은 최근 개헌 당론을 위한 의원총회에서 행정수도 신설 조항을 삽입기로 했다. ‘행정수도=세종시’를 명문화겠다는 취지다. 세종시는 행정수도 완성에 청신호가 켜졌다며 환영입장을 발표했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행안부와 과기부를 내년까지 세종으로 이전한다는 공식발표가 있었다”며 “행정수도 개헌과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문재인 정부의 의지와 여당의 결단을 응원한다”고 말했다.

세종시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에도 꾸준하게 이어진 아파트 청약률 고공행진도 계속될 것”이라며 “공무원 특별공급이 늘어나면 일반분양이 더 치열해지고 전세가도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