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업용 SSD’ 시장 진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SK하이닉스가 최근 시장이 커지고 있는 기업용 SSD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4일 SK하이닉스는 SSD 개발을 마치고 미국의 주요 데이터센터와 서버 제조사들에 샘플을 공급했다고 4일 발표했다.

4세대 3D 낸드플래시 탑재 #취약했던 SSD 경쟁력 향상 기대

SSD(Solid State Drive·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반도체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보조기억장치다. PC의 하드 드라이브를 활용하는 기존 HDD(Hard Disk Drive·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느리고 배터리를 많이 소비하는 한계에 부딪히자 대안으로 나온 게 SSD다. SSD는 반도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PC 내장 부품을 구동시키지 않으므로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배터리 소모도 적다. 이런 장점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센터나 기업용 서버 시장에서 SSD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기업용 SSD에 지난해 4월 업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4세대 512Gb 3D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를 탑재했다.

36단짜리 3D 낸드플래시 두 개를 이어붙인 72단 3D 낸드플래시는 이전 단계인 48단 제품보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셀(Cell)을 1.5배 더 쌓을 수 있다. 이 낸드플래시로는 최대 4TByte까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용량이 20Gbyte인 UHD급 영화를 200편 저장할 수 있는 수준의 대용량이다.

SK하이닉스는 이번 기업용 SSD 시장 진출로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경쟁력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기업용 SSD 시장은 대형 데이터센터와 서버 제조업체들을 상대로 하는 시장으로, 일반 소비자용 SSD 시장에 비해 부가가치가 높다. 그만큼 기술 장벽도 높아 이 시장에 비교적 늦게 진출한 SK하이닉스에겐 SSD 경쟁력이 최대 약점으로 꼽힌다.

SK하이닉스 낸드 상품기획 담당 강진수 상무는 “성장세가 높은 기업용 SSD 시장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향후 회사의 낸드플래시 수익성 개선에도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수련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