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시정연설서 “문 대통령과 국제 약속 …” 언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2일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는 지금까지의 양국 간 국제약속, 서로의 신뢰 축적 위에서 미래지향적으로 새로운 시대의 협력 관계를 심화시켜 가겠다”고 말했다.

‘한국 가장 중요한 이웃’ 표현은 빼 #위안부 추가조치 요구에 반감 표시 #개헌 드라이브 “각 당 구체안 내라”

우리의 정기국회 대통령 시정 연설에 해당되는 통상국회 시정방침연설에서다.

아베 총리는 이날 읽은 전체 1만1684자 분량의 연설문 속에서 한국과의 관계에 할애된 건 불과 60자 정도였다. 그 작은 분량 속에서도 굳이 ‘양국 간 국제 약속’이라는 단어를 지난해에 이어 다시 집어넣은 건 위안부 합의 갈등에 불쾌감을 표시하면서 한국에 합의 이행을 촉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총리 관저의 관계자는 ‘국제 약속이 무엇을 의미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위안부 합의를 포함한 여러 국제약속”이라고 답했다.

2013년 이후 아베 총리가 했던 시정방침연설의 한국 관련 부분은 모두 ‘한국은~’으로 시작했지만 올해엔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는~’이었다. 이를 두고도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반감을 드러냈다는 해석이 나온다.

부산 총영사관앞 소녀상 설치 문제로 양국 관계가 얼어붙었던 지난해에도 아베 총리는 연설문에 ‘전략적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국가’라는 표현을 집어넣었지만 올해엔 빠졌다.

그동안 아베 총리는 양국 관계가 어떻게 출렁이느냐에 따라 연설 내용을 조금씩 바꿔왔다. 2012년 12월 재집권 직후였던 2013년엔 “자유와 민주주의라는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국가로, 21세기에 맞는 미래지향적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이날 아베 총리가 가장 강조하고 싶었던 건 평화헌법 개정에 대한 의지였다. 아베 총리는 “50년, 100년 앞 미래를 바라보고 각 당이 국가의 이상적인 모습을 담은 구체적인 헌법안을 국회로 가져와 개헌을 전진시키자”고 강조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