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넘었다" "정치보복" "관심없어"…엇갈리는 시민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ㆍ현직 대통령의 정면충돌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반응은 첨예하게 갈린다.  MB 발언에 대한 분노와 정치보복이란 시선이 맞선다. 냉소도 있고, 우려도 있다. 반응은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한 가지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을 둘러싼 의혹은 정확히 밝혀져야 한다는 것이다.
18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만난 주민 백승택(60)씨는 "(이명박 전 대통령은) 죄가 있으니까 검찰에서 수사하는 거지 죄가 없는데 수사를 하겠느냐"며"돌아가신 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무슨 일만 있으면 노 전 대통령을 연결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정호 ㈜)봉하마을 대표는 “부끄러움을 모르고 거짓말을 하다 하나씩 실체가 드러나니 그걸 정쟁으로 몰아가려는 것이고, 노 전 대통령을 부관참시하는 어리석은 행동"이라고 말했다. 오상호 노무현재단 사무처장은 “노 전 대통령의 장남 건호씨도 ‘더는 아버지를 현실정치에 소환하지 말라’고 했듯 (이명박 대통령이) 위기상황을 돌파하려고 노 전 대통령을 정치적으로 소환하지 말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고향 집이 있는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성리 덕실마을 주변에서는 관련 얘기를 꺼내는 것을 꺼렸다. 한 60대 주민은 “정치적인 보복이라는 말이 나오는 등 시끄러운데 뭐가 맞는지 혼란스럽다. 정치인들끼리의 얘기”라고 했다. 북구 망천리 조준길 이장은 “아무리 이명박 전 대통령 고향이 포항이라도 지금 벌어지는 공방은 잘 모르고 관심도 없다"며"사실 서민들로선 정치권에서 하는 일들에 대해 진실인지 뭔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서울시청 지하 1층 쉼터에서 만난 하모(73ㆍ서울 공항동)씨는 “정치 보복"이라며 "국정원 특활비란 건 역대 다른 정권에서도 받은 건데 이렇게 들추는 경우가 어디 있느냐”고 했다. 대전에 사는 회사원 김남수(50)씨는 “이번 이명박 전 대통령 관련 수사는 어느 정도 정치보복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MB가 잘했다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전북 전주에 사는 직장인 박모(39ㆍ전주시 덕진동)씨는 “MB는 기자회견에서 ‘다스는 누구 겁니까’ 등 국민이 가장 궁금해하는 물음에는 전혀 답하지 않았다. 정치보복 여부를 떠나 국민은 정확한 사실을 알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 광화문에서 만난 최모씨(31ㆍ경기 용인시 농서동)는 “현 대통령과 전 대통령이 싸우는 모습 자체가 보기 좋지 않다. 촛불 대 태극기로 나뉘어 싸우던 과거보다 더 크게 국민이 분열될 수도 있다”며 “특히 다음 달이면 강원도 평창에서 올림픽이 열리는데 걱정이다. 남과 북도 화합하는 모습을 보여주려고 하면서 정권끼리 싸우는 건 무슨 상황인가”라고 말했다.
   김해ㆍ포항ㆍ대전ㆍ전주ㆍ서울 =위성욱ㆍ백경서ㆍ김방현ㆍ김준희ㆍ이태윤 기자 w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