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분노를 금할 수 없다"…전ㆍ현 정권 정면 충돌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전날 이명박 정부 때의 특수활동비 의혹 수사를 놓고 ‘정치 보복’을 주장한 이 전 대통령을 향해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직접 거론하며 정치 보복 운운한 데 대해 분노의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박수현 대변인을 통해 “이 전 대통령이 마치 청와대가 정치 보복을 위해 검찰을 움직이는 것처럼 표현한 데 대해 이는 우리 정부에 대한 모욕이며 대한민국 대통령을 역임한 분으로서 말해서는 안 될 사법질서에 대한 부정이자 정치 금도를 벗어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가 이례적으로 문 대통령의 심경을 담은 '직설 화법'을 전격 발표함에 따라 2009년 노 전 대통령 서거로 촉발된 문재인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갈등이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청와대는 전날 오후까지 ‘절제된 대응’ 기조를 유지했다. 하지만 밤 사이 보고를 거쳐 오전 문 대통령 주재로 참모 회의를 연 뒤 초강경 대응으로 선회했다.
 박 대변인은 회의를 마친 이날 오전 10시 40분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 발언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참모 회의 때 '분노','금도'라는 표현을 직접 썼고, 박 대변인이 이를 두 문장으로 정리해 발표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박 대변인은 자신의 페이스 북에 “(분노라는 단어는) 제가 대변인을 하면서 처음 듣는 말”이라고 올렸다. 다른 회의 참석자는 “이 전 대통령이 무리한 수사로 느꼈다면 무엇이 그런지를 지적하면 될 것을 왜 노 전 대통령을 갖다 붙이시는가”라며 “노 전 대통령 서거가 이쪽 진영에 어떤 의미인지를 알고서 하신 말씀인가”라고 반문했다.
 당초 신중 대응론에 서 있었던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노 전 대통령에 관한 한) 문 대통령이 판단할 대목이지 우리가 뭐라 말씀드릴 부분이 아니다”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 전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을 언급한 게 나로서는 불쾌하지만 더 큰 문제는 검찰 (외압)을 거론한 것”이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 참모는 전했다. 그는 “문 대통령은 검찰의 중립성을 지키려는 이 정부를 향해 ‘보복 수사’를 주장하자 모욕감을 느꼈다”고 전했다.
 이날 이 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 측근들에게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말라"면서 자제를 지시했다. 하지만 한 측근은 "문 대통령이 분노니 모욕이니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을 보면 아픈 데를 찔리긴 한 것 같다"며 "분노한다고 정치보복이라는 본질이 바뀌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른 참모는 "자기들이 당했으니 더 심하게 당하라고 정치보복을 하는 것 아닌가. 문 대통령이 도대체 무엇에 분노한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했다.
 현재 정국은 개헌과 권력기관 개편 등을 놓고 여야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여기에 이 전 대통령의 ‘정치보복 ’주장과 문 대통령의 ‘분노’ 심경이 충돌하면서 경색 국면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특활비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문 대통령의 발언을 의식해 수사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MB '정치보복' 기자회견에 "우리 정부 모욕" #"정치 금도를 벗어났다" 이례적 직설 표현 공개 #박수현 대변인 "'분노'라는 말 처음 듣는다"

 채병건 기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