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위안부 관련 일단 '침묵' …"올해는 개헌 논의 심화"

중앙일보

입력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4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한ㆍ일 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해 침묵했다. 올해 첫 기자회견이었지만 그는 위안부와 관련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회견장의 기자들로부터도 질문이 나오지 않았다.

신년 기자회견서 '위안부 합의' 언급 없어 #한국 정부의 추가 조치 지켜보자 판단한 듯 #국제사회 결집해 북 위협 대응 전략도 강화

문재인 대통령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하는 등 한국 정부의 위안부 합의와 관련한 적극적 행보와는 사뭇 대조적이다.

이를 두고 일본 언론들은 “10일로 예정된 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나올 한국 정부의 추가 조치를 지켜본 뒤 최종적으로 입장을 정하겠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4일 미에(三重) 현 이세(伊勢) 시에 있는 이세신궁을 참배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교도=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4일 미에(三重) 현 이세(伊勢) 시에 있는 이세신궁을 참배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교도=연합뉴스]

대신 아베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개헌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데 역점을 뒀다. “올해야말로 새로운 시대의 희망을 보여줄 헌법이 존재해야 할 모습을 국민에게 확실히 제시해 헌법개정 논의를 한층 심화하는 1년으로 하고 싶다”며 개헌 추진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다만, “일정을 정하고 하는 것은 아니다. 여야가 폭넓게 합의하는 형태를 만들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헌법의 기본 이념이 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시대 변화에 맞게 논의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국내외의 개헌 반대를 주장하는 목소리를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또 “일본을 둘러싼 안보환경이 전후 가장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기존의 연장선상이 아니라 국민을 지키기 위해 정말로 필요한 방위력 강화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북한 핵위협 등에 대한 대응전략과 관련해선 “지난해 북한이 핵ㆍ미사일 도발 행위로 일방적으로 긴장을 고조시켰다. (북한의) 정책을 변화시키기 위해 의연한 외교를 펼칠 것”이라며 “대북 제재 효과를 주의깊게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완전한 이행 등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도록 해 북한의 핵ㆍ미사일과 납치자 문제 해결을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도 밝혔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4일 미에(三重) 현 이세(伊勢) 시에 있는 이세신궁을 참배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교도=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4일 미에(三重) 현 이세(伊勢) 시에 있는 이세신궁을 참배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교도=연합뉴스]

중ㆍ일 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대해서는 “서로 상황이 좋은 시기에 조기에 열고 싶다”고 했고, “(경제가) 디플레이션에서 탈출하기 위한 길로 확실히 나아가고 있다”며 아베노믹스의 성과를 강조하기도 했다.

도쿄=윤설영 특파원 snow0@joogn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