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 운전자 생각 읽고 운행하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운전자가 머릿 속으로 '가속 페달을 밟아야지'라고 생각을 한다. 자동차의 자율주행 모드가 운전자의 뇌파 변화를 감지해 이 생각을 읽어낸다. 그리고는 차량 스스로 속도를 높인다.
 이번엔 '저 앞 교차로에서 우회전을 해야지'라고 생각한다. 이번에도 자율주행 모드가 운전자의 뇌파를 읽고는 스스로 핸들을 우측으로 꺾는다.

닛산 연구진들이 운전자의 뇌파를 읽는 자율주행 시스템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 닛산]

닛산 연구진들이 운전자의 뇌파를 읽는 자율주행 시스템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 닛산]

공상 과학 소설같은 이런 기술이 실제 등장한다. 자동차 메이커 닛산은 '운전자의 뇌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해석하는 차'에 대한 연구결과를 3일 발표했다. 닛산 측은 이 기술을 'B2V(Brain-to-Vehicle)'라고 소개했다. 원리는 운전자가 자신의 뇌파 움직임을 측정하는 기기를 착용하면 자율시스템이 이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의도된 움직임을 예상하고 미리 반응하면서 운전자의 실제 행동보다 0.2~0.5초 정도 더 빠르게 운전 조작을 실행한다.

"우회전 해야지" "가속 페달 밟아야지" #운전자가 생각만해도 차량이 뇌파 움직임 간파 #운전자 행동보다 0.2~0.5 초 빠르게 먼저 운전

닛산의 다니엘 스킬라치 부사장은 “대부분 자율주행을 인간이 기계에 대한 통제력을 포기한 비인간적인 기술이라고 치부하지만 B2V 기술는 그 반대"라며 "운전자의 뇌에서 전달되는 신호로 인해 운전을 더욱 흥미롭고 즐겁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B2V를 앞세운 닛산의 기술이 더 많은 자율성, 더 많은 전기화 그리고 더 많은 연결성으로 인류의 삶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닛산 연구진들이 뇌파를 읽는 자율주행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 닛산]

닛산 연구진들이 뇌파를 읽는 자율주행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 닛산]

B2V는 운전 조작뿐 아니라 운전환경도 바꿀 수 있다. 일본 닛산 연구센터의 루치안 게오르게 수석 연구원은 "증강현실과 결합하면 운전자 시야에 들어오는 운행 환경을 보다 편안한 상태로 바꿔 놓을 수 있다"며 "적용 범위와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닛산은 오는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가전박람회 'CES 2018'에서 관련 기술을 시연할 계획이다.
박태희 기자 adonis55@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