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 최고 36% 오른다는 보고 받고도 “인상 거의 없다” 발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정부가 신고리 5ㆍ6호기 공사를 재개하는 대신 현재 계획된 6기의 신규원전 건설계획을 백지화하기로 했다. 왼쪽부터 월성 1호기, 신월성 1호기, 신월성 2호기. [프리랜서 공정식]

문재인 정부가 신고리 5ㆍ6호기 공사를 재개하는 대신 현재 계획된 6기의 신규원전 건설계획을 백지화하기로 했다. 왼쪽부터 월성 1호기, 신월성 1호기, 신월성 2호기. [프리랜서 공정식]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3월 한국전력공사로부터 2030년 전기요금이 올해 대비 최대 36.45%까지 오를 수 있다는 보고를 받고서도 “2030년 요금은 올해 대비 10.9% 인상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최연혜 의원실이 입수한 한전의 2017년 3월 6일 자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자료’에 따르면 이같이 나타났다.

한전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10년간 전기요금 평균 변동률과 물가변동률을 반영해 가정한 결과 2030년 1kWh당 전기 판매단가는 148.43원으로 올해보다 최고 36.45%가 올라갈 것으로 예측했다. 최저치로 따져도 21.56% 오른다고 추산했다.

이는 원자력발전과 석탄 화력발전 비중을 그대로 유지한 것을 전제로 추산한 것으로 재생에너지 비율을 늘리지 않아도 전기요금이 20% 이상은 오르게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산업부는 이러한 보고를 받은 지 9개월만인 지난 14일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2016년 기준 전체 발전량의 7%인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2022년까지 에너지 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은 거의 없다”며 신재생 설비투자비 등을 고려하더라도 2022년 전기요금이 올해 대비 1.3%가량 오르고 2030년 요금도 올해 대비 10.9% 올라가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친환경과 분산형 전원에 대한 용량요금 보상 확대, 신재생에너지 지원 비용 등 전기요금 인상요인이 많은데 현 정부 임기 5년 동안은 전기요금이 안 오른다고 하는 것은 곧 차기 정부에 부담을 떠넘기는 무책임한 행태”라고 지적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