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국빈방문인데···중국의 세가지 외교결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 대통령에 ‘3불(不)’ 요구하며 ‘3결(缺)’ 범한 중국…4년 전과 달라진 풍경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중국 국빈방문을 위해 13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하며 전용기에 올라 손들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중국 국빈방문을 위해 13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하며 전용기에 올라 손들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베이징 서우두(首都) 공항을 통해 중국에 도착해 3박 4일간의 중국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방중 기간 동안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중국 서부 개발의 거점 지역인 충칭(重慶)을 방문해 현지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인을 격려할 예정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의 첫 방중은 시작 전부터 중국 측의 외교적 결례(缺禮) 논란에 휩싸였다. 외국 정상의 방문 형식 중에서 가장 격(格)이 높은 국빈(國賓) 방문이지만 정작 시 주석은 문 대통령이 베이징에 도착했을 때 베이징이 아닌 난징(南京)으로 향한다. ‘나라의 손님’이 왔는데 나라의 대표인 시 주석은 안방을 비우는 셈이다. 지난달 7~8일 한국을 국빈 방문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출국을 할 때 동남아시아 순방을 떠나는 문 대통령이 탄 ‘공군 1호기’가 트럼프 대통령이 탄 ‘에어포스원’의 이륙을 확인한 뒤 출국했던 건 국빈에 대한 예우 차원이었다.

중국 경제의 사령탑이자 서열 2위인 리커창(李克强) 총리와의 만남이 당초 추진했던 오찬 형식이 아닌 늦은 오후의 면담 형식으로 결정된 것도 홀대 논란을 낳고 있다. 문 대통령과 리커창 총리는 지난달 13일 아세안(ASEANㆍ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가 열린 필리핀 마닐라에서 회담을 했었다. 그런 까닭에 이번에 중국에 가서는 함께 식사를 하며 친분을 쌓는 수순을 우리 측이 기대했지만 불발됐다.

이러한 중국 측의 태도는 고고도미사일방어(사드ㆍTHAAD) 체계 배치 문제를 둘러싼 앙금이 남은 게 영향을 끼쳤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1994년 김영삼 전 대통령 이후 23년 만에 한국 대통령의 취임 뒤 첫 방중 때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않고, 공동 언론발표조차 하지 않는 것도 사드 문제와 직결돼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일 청와대 충무실에서 중국의 CCTV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일 청와대 충무실에서 중국의 CCTV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중국 관영 CC-TV가 지난 11일 방영한 문 대통령과의 인터뷰는 더 노골적이었다. 앵커는 사드 배치 관련 질문에 집중했고 “중국어에는 언필신 행필과(言必信 行必果ㆍ말에는 반드시 신용이 있고 행동에는 반드시 결과가 있어야 한다)라는 말이 있다”며 카메라 앞에서 ‘3불(三不)’ 관련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까지 했다. 3불이란 ▶한국이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에 참여하지 않고 ▶사드 추가 배치를 검토하지 않으며 ▶한ㆍ미ㆍ일 안보협력이 군사동맹으로 발전하지 않을 것이란 내용으로 사드 배치를 둘러싼 한ㆍ중 갈등을 푸는 과정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제시한 원칙으로 중국은 ‘약속’이란 표현을 쓰고 있고, 한국은 ‘입장’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이번 문 대통령의 방중은 사드 갈등을 빚기 전인 2013년 6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중국을 첫 방문했을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로 시작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15일 베이징대에서 연설을 한 뒤 중국 언론의 반응도 관심사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