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초등학교에 경력 짧은 교사가 많은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남의 한 초등학교 정문 전경. [중앙포토]

강남의 한 초등학교 정문 전경. [중앙포토]

서울 강남 근무를 기피하는 초등학교 교사가 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도 넘는 민원에 “학부모 감당 힘들어…” 초등교사들 강남 근무 손사래 # ‘힘센’ ‘드센’ 학부모 스트레스 심해… # 기피 중견교사 빠져나간 자리에 초임 교사가 메우는 현상 속출

4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최근 서울에서 ‘초등 교사 강남 공동화(空洞化ㆍ있어야 할 것이 없어져 텅 비게 됨)’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학부모 민원 등의 이유로 강남ㆍ서초구 내 초등학교 근무를 기피하는 중견 교사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힘세고 드셈’ 학부모들의 과도한 항의로 스트레스가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들이 빠져나간 자리는 초임 교사가 메우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최근 들어 강남ㆍ서초를 나가는 교사는 늘어나는 반면 들어오려는 교사가 줄어들어 초임 교사가 강남ㆍ서초에 배치되는 비율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 강남 지역에 근무하는 한 초등학교 교사는 도를 넘는 민원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강남을 벗어나고 싶다며 교장이나 교감마저 힘센 학부모 항의에 한 마디도 못 하고 오히려 교사에게 무조건 죄송하다고 하라고 한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다른 한 교사 역시 강남과 서초 지역에서 다시는 근무하지 않고 싶다며 힘센 학부모들의 과도한 개입을 지적했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강남ㆍ서초 지역 학교에 근무하는 경력 10년 미만 초등교사 비율은 서울 25개 자치구 평균(35%)보다 높은 41.7%였다. 반면 이들 지역의 20년 이상 30년 미만 중견 교사 비율은 서울 평균(18%)보다 낮은 13.5%였다. 또 강남ㆍ서초 초등교사 5명 중 1명은 최근 4년 내 신규 발령 난 교사다. 5년 전만 해도 강남구(18.8%)와 서초구(17.0%)는 신규 교사 비율이 서울 평균(15.8%)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두 지역의 신규 교사 비율이 가장 높다.

과거에는 선생님들 역시 학업 수준, 가정 환경이 평균 이상이어서 생활지도가 편하다는 이유 때문에 강남 지역을 선호했다. 한때는 강남 근무 지원자가 너무 많아 서울시교육청이 ‘강남, 서초에서 5년간 근무한 교사는 타지역으로 전보한다’는 규정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강남 선호 현상은 다 지나간 얘기다.

최근들어 교사들 사이에 강남 기피 현상이 확산되면서 서울시교육청은 과거 규정을 폐지하고 강남 서초 특별 잔류를 허용할 계획이다. 내년 3월부로 강남, 서초 지역을 떠날 교사는 300명인데 이 중 80여명이 잔류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교육청은 향후 잔류 제한 규정을 폐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한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