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 “북한 ICBM 도발로 오히려 대화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미사일 발사 지시를 친필명령한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화성-15'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사진은 화성-15형 시험발사 모습.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미사일 발사 지시를 친필명령한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화성-15'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사진은 화성-15형 시험발사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9일 화성-15형 장거리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며 또다시 도발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오히려 북한 대화 가능성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29일(현지시간) 미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싱크탱크 독일 마셜펀드(GMF)의 북한 전문가인 로라 로전버거는 “전문가들은 북한이 핵 억지력을 달성할 때까지 협상할 준비가 안됐다고 예상했다”며 대화 가능성을 점쳤다. 그러면서 “북한이 기술적 이정표를 달성했다고 느끼면 좀 더 대화 여지를 열어둘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북한은 미국과 동등한 핵보유국 지위를 확보하길 원해 한반도 비핵화라는 대화 목표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조선중앙TV가 30일 공개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의 전날 발사 영상에서 미사일이 발사 직전 지상 거치대에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TV가 30일 공개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의 전날 발사 영상에서 미사일이 발사 직전 지상 거치대에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랄프 코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태평양포럼 소장도 “일단 우리가 북한의 ICBM이 미국 본토를 사정권 안에 두고 있다는 점을 믿으면 북한도 대북 제재 해제를 대가로 핵·미사일 프로그램의 검증 가능한 동결까지는 아니어도 실험 동결은 의논하려들 것”이라며 국면 전환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 국장이 20일(현지시간) 외무성 산하 '미국연구소' 소장 직함으로 러시아 모스크바 비확산회의 '동북아 안보' 세션에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 국장이 20일(현지시간) 외무성 산하 '미국연구소' 소장 직함으로 러시아 모스크바 비확산회의 '동북아 안보' 세션에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웬디 셔먼 전 미 국무부 차관도 북한이 “협상 테이블을 세팅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셔먼은 지난달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국제 핵 비확산회의에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국장이 참석한 것을 언급하며 “미국이 북한에 대한 적대적 정책이나 북한의 핵무기 보유에 대한 강경 노선을 포기해야 한다는 북한 쪽 이야기는 전혀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행간 사이에 많은 뉘앙스가 있어 다수의 참석자들은 이를 대화를 위한 일종의 준비라고 믿게 됐다”고 말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