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삶의 향기

어느 ‘워라밸’ 낙제생의 반성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신예리 JTBC 보도제작국장 밤샘토론 앵커

신예리 JTBC 보도제작국장 밤샘토론 앵커

후배들에게 ‘화석’ 취급 받는 것, 전혀 어렵지 않다. 그네들이 ‘홍상수-김민희 스캔들’을 운운할 때 “사랑 앞에 용감하기로는 왕년의 김지미-나훈아 커플만 하겠느냐”고 한마디 툭 던지면 된다. 회사 생활의 고충을 털어놓기라도 하면 “내가 신참 시절엔 선배들 담배 심부름까지 했다”는 말로 기가 턱 질리게 할 수도 있다. 뭐니뭐니해도 세대 차이를 확 실감케 하는 방법은 요새 기준으론 “이거 실화냐?” 소리가 절로 나올 출산 전후 체험담을 들려주는 거다.

너나없이 일중독에 빠진 ‘과로 사회’에 변화의 조짐 #근로시간 단축 논란, 더 나은 삶 위한 지혜 모아 풀길

“일하는데 배가 살살 아프기 시작한 거야. 예정일보다 2주 정도 진통이 빨리 온 거지. 부장께 말씀드리니 ‘첫애는 일찍 안 나오니까 하던 일 마치고 퇴근하라’시네. 그래서 일 마무리한 뒤 ‘애 낳고 돌아오겠습니다’ 인사하고 집에 갔잖아. 밤새 진통하다가 이튿날 우리 딸을 낳았고.” 이쯤에서 눈이 동그래진 이들의 입을 쩍 벌어지게 하는 건 다음 대목이다. “그러곤 한 달 반 만에 다시 출근했어. 회사에서 혹시 휴가 다 안 쓰고 나올 수 있는지 묻길래 바로 그런다고 했지.”

부디 오해하지 마시기 바란다. 요즘 이런 소리 함부로 지껄이면 자칫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것 잘 안다. “나처럼 살라”는 게 아니라 “절대 그러지 말라”며 반성의 차원에서 건네는 얘기일 뿐이다. 삼십 년 가까이 저 모양으로 살다가 최근에야 시쳇말로 ‘워라밸’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게 됐기 때문이다. 한두 해 전인가 ‘워크 앤 라이프 밸런스(Work & Life Balance)’의 줄인 말이란 워라밸을 처음 접했을 때 솔직히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나름대로 잘 살았다고 자부해 온 내 인생이 송두리째 부정당한 느낌이랄까. 돌아보면 내가 선택한 직업 자체가 ‘일과 삶의 균형’이란 잣대로는 낙제점을 면키 힘드니 애초에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웠던 셈이다. 거기다 주변에 일중독자들이 차고 넘치다 보니 도저히 나 역시 전염되지 않을 도리가 없었다.

문제는 나와 내 동료들만 ‘환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과로 사회’라고 불릴 만큼 너나없이 오래 일하는 나라로 호가 났으니 말이다. 얼마 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이른바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를 살펴보니 ‘일과 삶의 균형’을 따지는 항목에서 한국은 38개국 중 35등에 그쳤다. 우리 사회의 열악한 워라밸 성적표가 다시 한번 입증된 거다. 그나마 일중독에서 벗어나려는 이들이 급속도로 늘고 있다는 데서 희망을 찾아야 할까. 최근에 나온 통계청 조사 결과, 가정과 일 중에 “일을 더 중시한다”는 응답이 처음으로 50% 밑으로 떨어진 걸로 나타났다. 불과 2년 새 10%포인트 이상 줄었다니 이만저만한 변화가 아니다.

숱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근로시간 단축에 힘을 싣고 나선 것도 이런 변화의 열망을 읽었기 때문일 게다. 자발적이든, 어쩔 수 없어 그러든 일에 푹 파묻혀 사는 대한민국 직장인들을 강제로라도 좀 쉬게 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거다. 일을 줄이면 돈도 줄어든다는 게 가장 큰 걸림돌일 테니 지금부터라도 덜 쓰면서 더 행복하게 사는 법을 다 같이 고민해야 할 것 같다. 무엇보다 늘 바빠서 얼굴 보기 힘든 가족·친구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늘릴 것을 권하고 싶다. 퇴직 후를 대비해 미리미리 저축해야 하는 건 돈뿐이 아니라서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1930년 ‘우리 손자 세대의 경제적 가능성’이란 글에서 100년 뒤엔 인류 대부분이 주당 15시간만 일하게 될 것이란 장밋빛 예언을 내놨었다. 그 정도만 일해도 물질적 필요가 충족돼 남는 시간과 에너지를 잘 즐기는 쪽에 쓰게 될 거란 얘기였다. 하지만 2030년이 불과 13년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우린 여전히 과로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빗나간 예언을 탓하기보다는 그가 꿈꿨던 대로 워라밸이 온전히 실현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뭐든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몰라도 손자 세대는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말이다.

신예리 JTBC 보도제작국장·밤샘토론 앵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