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시진핑 '사드 책임 자세 촉구' 발언은 기존 10·31 합의 재확인"

중앙일보

입력

청와대는 11일(현지시각) “한ㆍ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드(고고도미사일 방어ㆍTHAAD) 배치와 관련해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했다”는 중국 신화통신의 보도에 대해 적극 해명했다.

APEC 정상회의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오후(현지시간) 베트남 다낭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반갑게 미소지으며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APEC 정상회의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오후(현지시간) 베트남 다낭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반갑게 미소지으며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신화통신 보도 내용은 중국이 종래에 가져왔던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라며 “(시 주석의 발언은) 10ㆍ31 사드 공동 발표문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 주석이 정상회담 초반 이같은 입장을 확인한 뒤 현재 상황에서는 양국간에 미래 지향적인 관계발전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한국과 중국이 지난달 31일 공동 발표한 ‘한ㆍ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간 협의 결과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한국 측은 중국 측의 사드 문제 관련 입장과 우려를 인식하고,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는 그 본래 배치 목적에 따라 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 것으로서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을 해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중국 측은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를 반대한다고 재천명하였다. 동시에 중국 측은 한국 측이 표명한 입장에 유의하였으며, 한국 측이 관련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하였다”

이 관계자가 말한 대목은 당시 합의문 중 “한국은 ‘사드 체계를 반대한다’는 중국의 입장에 대해 ‘유의’하고, 관련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한다”는 부분이다.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한ㆍ중 정상회담 결과를 브리핑하는 과정에서 “양 정상은 사드 문제와 관련 10월 31일 공개한 ‘양국 관계개선 방안에 관한 발표내용’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양국이 모든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정상궤도로 조속히 회복시키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발표했다.

이 고위 관계자의 말은 10ㆍ31 합의문을 두 정상이 ‘평가’하는 과정에서 시 주석이 ‘촉구한다’는 표현을 썼다는 뜻이 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시 주석의 발언이 나오자 “사드가 중국을 겨냥한 게 아니다”라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의 발언 역시 10ㆍ31 합의문에 나오는 내용과 동일하다.

다낭=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