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무연 유전유연'?...담뱃값 오르자 저소득층만 '금연'

중앙일보

입력

담배 자료사진. [연합뉴스]

담배 자료사진. [연합뉴스]

담뱃세 인상이 저소득층과 청소년의 흡연율을 큰 폭으로 떨어트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고소득자에 속하는 남성 흡연자의 흡연율은 오히려 소폭 상승했다. 담배 가격 정책에 따른 '무전무연(煙), 유전유연(煙)' 현상이 관측된 셈이다.

7일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득 하위 계층의 흡연율은 2015년 1월 담뱃값이 2500원에서 4500원으로 인상된 이후 크게 변했다. 계층 구간은 조사 대상인 성인 남성의 소득 수준에따라 상·중상·중하·하 4개 구간으로 나눠 조사됐다.

하위계층의 흡연율은 2014년 45.9%를 기록했다. 담뱃값이 오른 2015년 40.6%로 크게 떨어졌고, 작년에는 소폭 오른 41.1%를 기록했다. 흡연율 감소 폭은 2년 동안 4.8%p 포인트를 기록했다.

그러나 상위계층 남성의 흡연율은 2014년 38.2%에서 2015년 35.9%로 떨어졌다가 2016년 38.5%로 다시 올랐다. 담뱃값이 오르기 이전보다 더 높은 흡연율을 기록한 셈이다. 이에 따라 두 계층의 흡연율 격차는 2014년 7.7%p,에서 작년 2.6%p로 줄어들었다.

또, 담뱃값 상승은 청소년의 흡연율을 낮추는 효과도 가져온 것으로 분석된다.

청소년건강형태 온라인조사에 따르면, 남자 청소년(중·고등학생)의 흡연율은 2014년 14.0%에서 2015년 11.9%, 2016년 9.5%, 2017년 9.5% 등으로 10% 이내 수준에서 안정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