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축전외교로 관계복원 하나…시진핑의 축전, 언중유골?

중앙일보

입력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1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게 전문을 보내 “새로운 정세에서 북·중 관계 발전과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자”고 말했다고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2일 보도했다. 지난달 25일 김정은이 시 주석의 당 총서기 선출에 대한 축전(祝電)을 보낸데 대한 시 주석의 답전(答電)이다.

김정은 축전에 시진핑 "사의를 표한다" 답전 #냉랭해진 양국 관계 축전 외교로 개선 가능성 #과거 전통 우호 관계 강조 대신 #"새로운 정세 하 지역의 평화와 안정, 공동 번영 수호하자"

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얼마 전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와 위원장 동지가 중국 공산당 제19차 대회가 진행되고 내가 다시금 중국 공산당 총서기로 선거(선출)되고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취임한 것과 관련하여 각각 축전을 보내준 데 대하여 나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를 대표하여, 그리고 나 자신의 이름으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와 위원장 동지에게 진심으로 되는 사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 주석은 “새로운 정세 하에서 중국 측은 조선 측과 함께 노력하여 두 당, 두 나라 관계가 지속적으로 건전하고 안정적으로 발전하도록 추동함으로써 두 나라 인민들에게 더 훌륭한 행복을 마련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 공동의 번영을 수호하는데 적극적인 기여를 하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위원장. [중앙포토]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위원장. [중앙포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연합뉴스=AP]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연합뉴스=AP]

시 주석의 전문은 지난해 7월 11일 ‘북·중 우호 협조 및 상호원조 조약’ 체결 55주년을 맞아 보낸 축전 이후 1년 4개월여 만이다. 이 때문에 양국 지도자들이 전문외교를 통해 냉랭해진 관계의 회복 수순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 당국자는 “중국은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으로 미국의 압박이 강해지자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며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중국이 동참하면서 양국 관계가 소원해졌는데 최근 중국 당 대회를 계기로 양측이 주고받는 전문이 관계회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중국과의 관계가 나빠지자 최근 러시아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래서 북한과 중국의 축전외교가 고위 관계자의 인적 교류로 이어지면서 관계 회복이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김정은이나 시 주석의 축전 내용을 보면 조금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북한과 중국은 치아와 입술에 비유해 입술이 없으면 치아가 시리다는 표현을 할 정도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며 “하지만 최근 축전과 답전을 통해 관계 회복의 기미를 보이기는 했지만, 내용에 전통적 우호 관계를 강조하는 부분이 빠져 있어 북한의 추가도발이나 중국의 대응 등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김정은은 지난달 25일 보낸 축전에서 축하 메시지를 전하기는 했지만 ‘선대(先代)에서부터 맺어온’ 등 과거 전통적 우호 관계를 언급하지 않았다. 시 주석 역시 ‘새로운 정세에서’‘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한 불만을 암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