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트럼프의 험프리스 기지 방문 초청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오르며 뒤돌아 손짓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오르며 뒤돌아 손짓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초 한국 방문 시 평택의 험프리스 미군기지를 방문해 달라는 초청(invitation)을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받았다고 미 백악관 고위관계자가 2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달 3~14일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한 브리핑에서 "우리(미국)는 험프리스 기지를 방문해달라는 초대를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손님"이라며 "(비무장지대(DMZ)와 험프리스 기지) 둘 다를 방문하기는 어렵고, 최종결정은 안 됐지만 7일 험프리스를 방문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는 청와대가 "문재인 정부가 트럼프의 DMZ 방문을 반대하고 있다"는 지난 주 워싱턴포스트(WP)의 보도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 일정은 미국이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찬반 입장을 낼 성격이 아니다"고 밝힌 것과는 차이가 나는 발언이다.

백악관 관계자, "둘 다 갈 순 없다"며 DMZ방문 유보 밝혀 #"우리가 찬반 입장 낼 성격 아니다"는 청와대 주장과 차이 #한국 1박엔 "밤을 공평히 나눌 수 없다" "7일 정오 도착"

미 8군 사령부가 주둔하는 경기도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

미 8군 사령부가 주둔하는 경기도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

이 관계자는 "일부 언론은 몇몇 이유를 대면서 대통령이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지만, 안전이 우리의 고려사항은 아니다"며 "험프리스 기지는 비교적 새로 지은 한반도 내 핵심 미군기지로 솔직히 (한·미 간) 비용분담의 좋은 사례"라고 덧붙였다.
1983년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방한 이후 DMZ를 찾지 않은 미국 대통령은 조지 H W 부시(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1993년 7월 비무장지대(DMZ)를 방문한 빌 클린턴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에서 25m 떨어진 최북단 오울렛 초소에서 쌍안경을 든 채 북한 쪽을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1993년 7월 비무장지대(DMZ)를 방문한 빌 클린턴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에서 25m 떨어진 최북단 오울렛 초소에서 쌍안경을 든 채 북한 쪽을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CNN은 "현 상황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호전적인 언어가 긴장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린 터라 안보 전문가들은 그의 DMZ 방문이 매우 '도발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해 왔다"고 배경을 분석했다.
한편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7일 정오에 도착해 1박2일 일정을 소화한다며 "(방문국마다) 밤을 공평하게 나눌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주요 방한 일정으로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7일), 국회 연설(8일), 국립묘지 참배 등을 소개한 뒤 "이번 방문국 중 유일하게 한국에서 국회연설을 하며 이는 한국에서 하는 두개의 중요한 연설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머지 하나는 무엇인지 밝히지 않았지만 험프리스 기지에서 굳건한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메시지가 있을 것으로 전해졌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방북할 뜻을 밝힌 데 대해선 "그의 평화에 대한 헌신을 존중하지만, 계획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 대해선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트럼프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면서 "두 사람이 양국 모두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 낙관한다"고 말했다.

미·중 정상회담에 대해선 두차례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에 대한 중국의 동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훨씬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 (중국이) 국제제재의 완전이행과 더불어 독자제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과의 회담에서 대북 독자제재를 공식 요구하며 담판을 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 2월 방미했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플로리다의 골프장에서 라운딩을 하던 도중 하이파이브를 하고 있다. [플로리다 교도=연합뉴스]

지난 2월 방미했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플로리다의 골프장에서 라운딩을 하던 도중 하이파이브를 하고 있다. [플로리다 교도=연합뉴스]

한편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방일 기간 중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골프 회동에 대한 질문에 "누군가 골프백을 비행기에 실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