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돈줄 죄는 은행, 가계대출 문턱도 높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8·2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가계대출의 문턱이 높아진다. 대출 수요도 한풀 꺾일 것으로 보인다.

대출태도지수 14년 만에 최악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에 따르면 4분기 국내 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5였다. 3분기(-18)에 이어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이 지수가 마이너스면 대출금리를 높이는 등 심사를 강화하겠다는 금융기관이 완화하겠다고 답한 곳보다는 많다는 의미다. 대출태도지수는 2015년 4분기 이후 9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은행이 대출을 가장 조일 곳은 가계 부문이다. 주택담보대출이 주인 가계주택의 대출태도지수의 4분기 전망치는 -30이었다. 3분기(-40)에 이어 은행의 가계대출 문턱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너스 통장과 같은 신용대출 등 가계일반 대출도 깐깐해질 것으로 보인다. 4분기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20까지 떨어졌다. 3분기(-7)보다 빡빡해진 것으로 이 전망치가 현실화하면 2003년 4분기(-24)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하게 된다.

8·2 부동산 대책 등으로 주택거래가 둔화하며 가계주택 대출 수요도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4분기 가계주택 대출수요지수(-20)는 3분기(-3)보다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2007년 3분기(-22) 이후 가장 큰 폭의 마이너스다. 하지만 4분기 가계일반 대출수요지수(7)는 3분기(0)보다는 다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일반대출 수요는 전·월세 자금을 중심으로 소폭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