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국정감사] 폭행ㆍ폭언ㆍ협박… 임대주택 입주민에게 시달리는 주택관리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임대주택을 관리하는 주택관리사가 입주민으로부터 폭언ㆍ폭행 등 피해를 당하는 사례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사례 2013~2016년 194건→1209건으로 증가 #이학재 바른정당 의원 “‘감정노동’ 보호장치 마련해야”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학재(바른정당) 의원이 주택관리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임대주택 입주민으로부터 주택관리사가 폭행ㆍ폭언 등 피해를 입은 건수는 최근 5년간 총 3459건에 달했다.

자료: 이학재 바른정당 의원

자료: 이학재 바른정당 의원

연도별로는 2013년 194건, 2014년 276건, 2015년 1117건, 2016년 1209건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8월까지 663건이 발생했다. 유형별로는 폭언이 197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행패 511건, 폭행 135건, 협박 86건 순이었다.

주택관리사는 공동주택 시설관리, 경비ㆍ청소ㆍ소독 등 업무를 한다. 공공임대에서 근무할 경우 입주자 중 장애인, 독거 노인 같이 손길이 필요한 입주민에 안부를 확인하거나 말벗이 돼 주고 은행 업무를 돕는 등 편의를 제공하는 주거복지 업무도 맡는다.

지난해 6월 서울 강남의 한 고급 아파트 단지 입구에서 주택관리사가 입주민 대표의 폭언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지난해 6월 서울 강남의 한 고급 아파트 단지 입구에서 주택관리사가 입주민 대표의 폭언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대한주택관리사협회]

매년 주택관리사 피해가 늘고 있지만 입주민과 공동주택 관리자라는 관계 특성상 주택관리공단은 112ㆍ119 신고 외에 별다른 대응을 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학재 의원은 “감정노동자인 주택관리사가 정신건강 검진, 집단 심리상담 같은 치유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보호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