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금융거래 애로사항, 재무제표 위주 대출 관행이 1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9면

중소기업의 절반이 열흘간 이어질 긴 추석 연휴 때 자금 걱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0개 업체 중 4개는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처지다.

46% “추석 상여금 자금사정 곤란” #서비스업·수출기업 매출감소 심해 #평균 상여금 67만원 … 7.6일 휴무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8일까지 1147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7년 중소기업 추석 자금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46%는 자금 사정이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이 곤란하다는 응답은 30.6%로 ‘원활’(10.4%)하다는 응답보다 20.2%p 높게 나타났다.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자금조달 곤란 원인(복수 응답)은 ‘매출감소’(69.1%)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판매대금 회수지연’(37.7%), ‘원자재 가격 상승’(23.1%) 순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부담을 느낀다는 응답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매출감소’ 응답은 서비스업(도소매업 제외)이 78.3%, 수출기업이 71.6%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올해 초부터 본격화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 영향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중소기업이 추석에 필요한 금액은 평균 2억3910만원으로 지난해(2억310만원)보다 3600만원 증가했다. 이 중 부족한 금액은 6470만원으로, 필요 자금 대비 부족률은 27.1%였다.

지난해 대비 추석 자금 부족률은 10%p 줄어 추석 자금의 확보 수준은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납품대금 조기회수(46.6%) ▶결제연기 (40.0%) ▶금융기관 차입 (27.6%) 등의 방식으로 추석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추석 상여금(현금)을 지급할 예정인 업체는 56.1%로 지난해(61.6%)보다 5.5%p 감소했다. 추석 상여금 지급업체는 정률 지급 시 기본급의 56.0%, 정액 지급 시 평균 67만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상여금(현금) 미지급 사유로는 ‘연봉제로 미지급’(16.1%), ‘경영 곤란 미지급’(10.4%)순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각각 3%p, 2.1%p 증가했다.

중소기업은 주말, 대체휴일 등을 모두 포함한 열흘의 추석 연휴 중 평균 7.6일을 쉬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업체의 35.6%는 올해 추석에 10일 전체를 휴무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금융기관 거래 시 애로사항(복수응답)은 ‘매출액 등 재무제표 위주 대출 관행’(37.5%), ‘신규 대출 기피’(28.6%), ‘고금리’(27.8%), ‘부동산 담보요구’(24.9%)순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는 “금리가 높은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중소기업 대출이 증가해 중소기업이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애로를 겪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영선 기자 az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