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여행수지 적자 사상 최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7월 여행수지적자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 관광객은 줄어드는 데 비해 해외를 찾는 내국인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240만명 출국, 18억 달러 적자 #경상수지는 65개월 연속 흑자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72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65개월 연속 흑자다. 하지만 흑자 폭은 줄었다. 서비스 수지 적자(32억9000만 달러)가 역대 2위 수준까지 늘어난 탓이다. 반도체 시장의 호조로 수출(472억1000만 달러)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1.4% 늘며 7월 상품수지는 107억1000만 달러의 흑자를 냈다. 그러나 7월 여행수지 적자는 17억9000만 달러다. 2008년 8월(16억5000만 달러)을 넘어선 역대 최대치다. 지난해 7월(12억8000만 달러)과 올해 6월(13억9000만 달러)과 비교해도 적자 폭이 크다.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한은에 따르면 7월 출국자 수는 238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5% 늘었다. 반면 한국을 찾은 입국자 수는 10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40.8% 줄었다. 중국 관광객의 발길이 끊긴 탓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으로 중국인 입국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69.3% 감소한 28만1000명에 그쳤다.

한은은 “중국 관광 수요 감소를 다른 국가 관광객이 채워주기를 기대했지만 북핵 문제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더해지며 입국자 수가 줄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7월에 한국을 찾은 일본(-8.4%)과 필리핀(-39.4%), 말레이시아(-21.3%) 관광객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감소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 4월부터 12월까지 중국 관광객이 전년 대비 40%씩 감소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손실은 약 6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황현준 이베스트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휴일이 늘어나는 등 휴가를 즐길 수 있는 여건이 개선되면서 내국인 출국자수는 두자릿수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