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파업' 7년來 가장 많았는데…임금인상률은 최저

중앙일보

입력

김회룡 기자

김회룡 기자

지난해 노사 분규에 따른 '근로손실일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되려 임금 인상률은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동아일보가 입수한 '2016년 노사관계 실태 분석 및 평가' 정부용역 보고서(한국노동연구원 이정희 부연구위원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사업장의 노사 분규는 총 120건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121건) 이후 가장 많았다.

특히 파업에 따른 근로손실일수(파업 참가자 수와 파업 시간을 곱한 뒤 하루 근로시간인 8시간으로 나눈 수치)는 203만5000일로, 집계를 시작한 199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현대·기아자동차 등 대형 사업장의 파업이 많았고, 철도노조 등 성과연봉제를 둘러싼 공공부문 노사 분규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반면 지난해 노사가 합의한 임금 인상률은 3.3%에 그쳤다. 이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1.7%) 이후 가장 낮은 인상률이다. 이 탓에 파업하면 임금이 오르는 등 근로조건이 개선된다는 공식은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