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교통사고 사망, 보행 중 횡단보도서 가장 많이 발생

중앙일보

입력

우리나라 어린이의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은 보행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고는 횡단보도에서 가장 많이 일어났다.

25일 질병관리본부는 국가손상조사감시사업 중앙지원단과 함께 올해 1분기 응급실 손상환자심층조사를 통한 손상환자의 발생현황과 경찰청의 어린이 교통사고 통계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 어린이 교통사고는 차량 탑승 시에 많이 발생(62.1%)했다. 사망 사고는 보행 중(64.6%)에 가장 많았다. 차량 탑승자 사고가 보행자 사고보다 2배 이상 많이 발생했고, 이 중에 보행자 사망이 차량탑승자 사망보다 5배 높았다.

수원 초등학교앞 횡단보도 안전 발자국.

수원 초등학교앞 횡단보도 안전 발자국.

또한 교통사고 발생시 안전벨트 착용률은 68.1%였고, 안전벨트 미착용시 사망은 착용시의 2배였으며, 자전거 등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은 38.3%였고, 안전모 미착용시 사망은 착용시 보다 높았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가 국가손상조사감시사업 중앙지원단(단장 송경준)과 함께 25일 공동 발간한 ‘손상예방과 건강한 안전사회’창간호(계간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동안 23개 응급실을 찾은 손상환자(5만9000건) 중 교통사고는 9000건(15.1%)이었다. 이 중 사망은 2%(182건)였다. 교통사고는 차량탑승자 사고가 보행자 사고보다 2배 이상 많이 발생했다. 이 중에 보행자 사망이 차량탑승자 사망보다 5배 높았다.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안전벨트 착용률은 68.1%였다. 안전벨트를 안했을 때의 사망은 했을 때보다 2배였다. 자전거 등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은 38.3%였고 안전모를 미착용했을 때의 사망은 착용했을 때보다 조금 높았다.

질병관리본부가 배포한 안전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자전거나 인라인스케이트를 탈 때는 안전모 등 보호장구를 꼭 착용하도록 하고, 차량 탑승시에는 체중에 맞는 카시트를 착용하도록 해야 한다. 또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멈춘다, 살핀다, 건넌다’는 3가지 기본원칙을 지킬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교통사고나 낙상, 추락 등 사고를 막고 이러한 사고로부터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고 원인과 위험요인을 밝혀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관련 전문가들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대국민 예방수칙 홍보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 9가지 준수사항

조금 멀어도 안전한 길로 다니도록 한다.
준비물과 숙제는 미리미리 챙긴다.
눈‧비 올 때나 어두울 때는 밝은 색 옷을 입도록 한다.
교통신호는 꼭 지킨다.
뛰어서 길을 건너지 않는다.
차례차례 타고 내린다.
차 안에서 안전띠를 꼭 맨다.
차가 다니는 길에서는 놀지 않는다.
거리에서 먼저 양보한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